earticle

논문검색

자원봉사 동기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원문정보

A Study for the Effect of Volunteer Motivation on Self-Esteem

엄경희, 송용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s' motivations for participating in volunteer activities and their self-esteem. Conducting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ix motivations for volunteering and gender as dummy-coded independent variables, and self-esteem as the dependent variable, the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overall impact of volunteer activities on individuals' self-esteem. Results indicated that 'Learning Motivation' and 'Career-building Motivation' significantly expla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volunteer activities and self-esteem. Notably, there were no significant gender-based differences. The study suggests that, unlike altruistic and intrinsic motivations, selfish and extrinsic motivations for volunteering can positively influence self-esteem, emphasizing the role of volunteerism in providing experiences related to career development and motivations influenced by others.

한국어

이 연구는 자원봉사 활동에 참여하는 개인들의 동기와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를 조사하고, 이를 통해 자원봉 사가 개인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자 6개의 자원봉사 동기와 성별을 dummy 화한 독립 변수와 자아존중감을 종속변수로 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자원봉사 활동과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 에서 6개의 자원봉사 동기 중 '학습 동기'와 '경력 쌓기 동기'가 유의미한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성별에 따른 결과의 차이는 없었다. 특히 이타적이고 내재적 자원봉사 참여 동기보다 이기적이고 외재적인 자원봉사 참여 동기가 오히려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점에서 이타적인 의미보다는 자원봉사가 개인 의 경력 구축과 관련된 경험 제공, 타인의 의한 동기가 자아 신뢰와 자아존중감을 증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연구문제
Ⅱ. 이론적 배경
2.1 자아존중감과 측정
2.2 자원봉사 활동의 동기와 측정
2.3 자원봉사와 자아존중감
Ⅲ. 연구설계
3.1 연구모형 및 변수 설정
3.2 분석 대상의 선정 및 분석 방법
Ⅳ. 분석 결과
4.1 응답자 특성
4.2 자아존중감 영향 요인 분석 결과 및 해석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엄경희 Kyung hee Eom. 중앙대학교 대학원 의회학과 학생
  • 송용찬 Song, Yong chan. 중앙대학교 공공인재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