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예비유아교사와 영유아 교사가 인식하는 이미지메이킹 요인과 교육 실태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Image-making Factors and Educational Conditions Recognized by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허혜순, 이보람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order to examine the reality and differences in image-making education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this study targete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t universities located in cities D and B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 survey was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infant and toddler teachers' perceptions of image-making education, and cross-analysi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infant and toddler teacher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image-making elements recognized b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the highest ratio of facial expressions and attitudes, and internal factors that considered inner image important were high. Regarding the actual status of image making education for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infant and toddler teachers, the highest response was that they had no experience receiving education,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educational status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s that image-making education for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is necessary to develop a teacher-like image. It is also meaningful in providing basic research data on image-making education conducted on various topics for each image element necessary for infant and toddler teachers.

한국어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와 영유아 교사를 대상으로 한 이미지메이킹 요인과 교육의 실태에 대한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D시와 B시에 소재한 대학의 예비유아교사와 유아교육기관에 재직 중인 영유아 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영유아 교사의 이미지메이킹 요인과 교육에 대한 인식조사를 위해 빈도 분석과 기 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예비유아교사와 영유아 교사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교차분석 및 독립표본 t-검정 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예비유아교사와 영유아 교사가 인식한 이미지메이킹 요소는 표정과 태도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내면의 이미지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내적 요인이 높게 나타났다. 예비유아교사와 영유아 교사를 대상으로 한 이미지메이킹 교육의 실태는 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다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에 따른 교 육 실태의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는 교사다운 이미지를 갖추기 위해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이미지메이킹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영유아 교사에게 필요한 이미지 요소별 다양한 주제로 진행되는 이미지메이킹 교육에 대 한 기초적인 연구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Ⅱ. 연구방법
2.1 연구 대상 및 자료수집
2.2 설문지 구성
2.3 측정 도구
2.4 자료분석
Ⅲ. 연구결과
3.1 조사대상자의 속성
3.2 이미지메이킹 요소
3.3 이미지메이킹 요인
3.4 이미지메이킹 교육 실태
3.5 이미지메이킹 요인 비교분석
3.6 이미지메이킹 교육 실태 비교분석
Ⅳ. 결론 및 논의
REFERENCES

저자정보

  • 허혜순 Hye-soon Heo. 부산경상대학교 뷰티스타일과 조교수
  • 이보람 Bo-Ram Lee. 계명대학교 유아교육과 외래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