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공학계열 전공역량 진단도구의 타당화 연구 : 의학공학계열 사례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Validation of Engineering Major Competency Diagnostic Tool : A Case study in the Medical Engineering Field

오방실, 권영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diagnostic tool for engineering major competencies and check its validity in order to systematically manage the performance of competency-based major curriculum. A population of 289 students majoring in medical engineering at K University in the 2022 school year was set as the population, and a total of 136 students who underwent major competency diagnosis were finally analyzed. First. a total of four major competencies(medical device design, programming, medical law, and covergent thinking competency) and a total of 19 diagnostic items were derived from a content validity by a panel of experts in medical engineering and education fields. Second, as a results of factor analysis, 82.55% of the total variance was explained by the research model, and the factors exactly matched the four major competencies derived from the expert panel. Third, the reliability of all 19 items was very high at 0.97, and the reliability value for each major competency was above 0.83. Implications for competency-based major curriculum development, operation, and performance management are also discussed.

한국어

이 연구는 역량기반 전공 교육과정의 성과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공학계열 전공역량 진단도구를 개발하고 그 타당도를 점검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2022학년도 K대학교 의학공학전공 계열 재학생 289명을 모집 단으로 설정하였고, 전공역량 진단을 실시한 136명을 대상으로 최종 분석하였다. 측정 도구의 타당성 검증을 위하여 기술통계분석,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등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전공분야 및 교육학 전문가 패널의 내용 타당도 분석을 통하여, 총 4개의 전공역량(의료기기설계역량, 프로그래밍역량, 의료 법역량, 융합적사고역량)과 총 19개의 진단문항을 도출하였다. 둘째, 요인분석결과, 전체분산의 82.55%가 연구모형 에 의해 설명되고 있었으며, 전문가 패널에서 도출된 전공역량 분류에 정확하게 일치하였다. 셋째, 전체 19개 문항 의 신뢰도는 0.97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전공역량별 신뢰도 값은 0.83 이상으로 나타났다. 향후 도출된 사례를 토대로 미래세대를 위한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개발 및 운영하고, 전공역량 성과체계 연구에 기반이 되기를 바란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2.1 연구대상
2.2 연구절차 및 도구
2.3 자료분석
Ⅲ. 연구 결과
3.1 내적 구조에 기초한 타당화
3.2 일반화에 기초한 타당화
3.3 신뢰도
3.4 전공역량 간 상관관계 분석
3.5 학년별 전공역량 결과분석
Ⅳ. 결론 및 논의
REFERENCES

저자정보

  • 오방실 Bangsil Oh.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Cogito대학교육혁신원 교수
  • 권영애 Young Ae Kwon.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Cogito대학교육혁신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