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경북 예천 동학농민혁명 관련 유적지 현황과 활용 방안

원문정보

Current Status and Utilization of Historic Sites Related to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Yecheon, Gyeongsangbuk-do

신진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targets historical sites related to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Yecheon, Gyeongsangbuk-do. This is because Yecheon, Gyeongsangbuk-do, was the first to capture Donghak Peasant Army activities in the northern part of Gyeongsang-do in 1894. There are a total of nine historical sites for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Yecheon. 1) They include the site of the house of Choi Maeng-soon's, the father and son(최맹순 부자), who first set up a Jeopso(接所) in Yecheon, 2) The site of the "BoSu-JipGangso(보수집강소)" organized by 鄕吏s to suppress the Donghak Peasant Army, 3~4) Geumgok Podeokso(금곡포덕소) and Geumdangsil Village(금당실 마을), which were the base of Donghak Peasant Army, 5) where 11 Donghak Peasant Army were buried alive 6) Yonggung Hyeoncheong, where Donghak Peasant Army seized 武器 for the battle, 7) Hwaji-dohoe(화지도회) and Geumgok-dohoe(금곡도회), where Donghak Peasant Army gathered for the final match, 8) The Seojeongja-deul(서정자들) where the battle took place, 9) the grave of the Donghak Peasant Army Leader Jeon Gi-hang(全基恒). As a utilization plan, a tour program using historical sites and a commentator training program were presented. In addition, it was suggested that the house sites of descendants such as Kim No-Yeon(金魯 淵), Park Hyeon-Seong(朴顯聲), and Jeon Gyu-seon(全奎選), other than Jeon Gi-hang(전기항), should be tracked down and that the testimony records of descendants should be recorded. Finally, it was mentioned that exchange between the a righteous soldier(義兵) researcher and the Donghak Peasant Army researcher was necessary. Through this article, I hope that the activities of Donghak Peasant Army in Yecheon will not be forgotten and remembered.

한국어

이 글은 경북 예천 지역 동학농민혁명 관련 유적지를 대상으로 하였다. 경북 예천은 1894년 경상도 북부지역에서 가장 먼저 동학농민군 활동이 포착되었기 때문이다. 예천 동학농민혁명 유적지는 총 9곳이다. 1) 예천에 가장 먼저 接所를 차렸던 최맹순 父子의 집터, 2) 동학농민군을 진압하기 위해 鄕吏들이 조직한 ‘보수집강소’ 터, 3~4) 동학농민군 근거지였던 금곡포덕소와 금당실 마을, 5) 11 명의 동학농민군을 생매장했던 곳, 6) 동학농민군이 결전을 위해 武器를 탈취했 던 용궁현청, 7) 동학농민군이 결전을 위해 모였던 화지도회와 금곡도회, 8) 결전 을 벌였던 서정자들, 9) 동학농민군 지도자 전기항(全基恒)의 묘소가 있는 곳 등 이다. 활용 방안으로는 유적지를 활용한 탐방프로그램과 해설사 양성프로그램을 제 시하였다. 덧붙여 예천 동학농민군 가운데 전기항 외 김노연(金魯淵), 박현성(朴 顯聲), 전규선(全奎選) 등 후손의 집터 등을 추적할 것과 후손의 증언 채록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또 前期義兵 연구자와 동학농민군 연구자의 교류 가 필요한 점도 언급하였다. 이 글을 통해 예천 지역 동학농민군 활동이 잊혀지지 않고 기억되길 기대해 본다.

목차

1. 머리말
2. 예천 지역 동학농민혁명 관련 유적지 현황
3. 맺음말을 대신하여 : 과제 및 활용 방안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신진희 Shin, Jin-Hui . 안동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