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차이와 다양성의 평화적인 공존 : 하버마스의 비판이론을 넘어

원문정보

Peaceful Coexistence of Difference and Diversity : Beyond Habermas’ Critical Theory

김진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relationship between revelation and reason has always been a violent one. Liberal theology aimed to complete revelation through reason by suppressing revelation through reason, while evangelical theology, on the contrary, attempted to incorporate reason into revelation by criticizing reason through revelation. However, looking at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Trinity, Christianity is not biased towards one side like modalism or subordinationism, but can be seen as a relationship between one God and three Gods. The relational Trinity claimed in revelation asserts that the three persons of the Father, the Son, and the Holy Spirit have unity in mutual communication as the center of action and freedom, and this is achieved through the intimate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persons, that is, the exchange of love. We can see that God is a relational being. From this theological perspective, we can criticize the rationality claimed by reason. Jürgen Habermas, a representative scholar who believes in the power of reason, saw in his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that society is formed through the rational actions of agents with reason in their respective domains: the objective world, the social world, and the subjective world. However, he reduces each rationality to a single communicative rationality. The same problem arises in Habermas's hospitality to others. He fails to acknowledge the difference and diversity of others who are completely different from me, and reduces others to sameness, thereby exercising violent oppression rather than hospitality toward others. Therefore, Habermas' theory of action cannot bring about mutual understanding with others, nor can it have an attitude of accepting others. In conclusion, Christianity's claim of a relational Trinity that does not incorporate either revelation or reason can be said to be a true rationality that can criticize the violence of Habermas's communicative rationality and simultaneously assert difference, diversity, and identity.

한국어

계시와 이성의 관계는 주로 편향적 관계를 맺어왔다. 자유주의 신학은 이성으로 계시를 억압해서 이성을 통한 계시의 완성을 목표로 하였고, 이와 반대인 복음주의 신학은 계시를 통한 이성 비판으로 계시 안에 이성을 편입시키려고 하였다. 하지만 삼위일체의 정립 과정을 보면 기독교는 양태론이나, 종속론같이 어느 한쪽에 치우친 것이 아니라 한 분 하나님과 삼위의 하나님이 관계를 맺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계시에서 주장하는 관계적 삼위일체는 성부, 성자, 성령의 세 위격들이 행위와 자 유의 중심체로서 서로 상호교통 가운데 단일성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하며, 이는 세 위격 간의 친밀한 관계 즉, 사랑의 교류를 통해 삼위일체 하나님이 관계적 존재인 것 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신학적 관점으로 이성이 주장하는 합리성을 비판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이성의 힘을 믿는 학자인 위르겐 하버마스(Jürgen Habermas)는 의사소통 행위이론에 서 이성을 가진 행위자들이 각각의 영역인 객관세계, 사회세계, 주관세계에서 각각의 합리적 행위로 사회가 구성된다고 보았다. 하지만 그는 각각의 합리성을 의사소통 합 리성 단 하나로 환원시킨다. 이는 하버마스가 주장하는 타자에 대한 환대에서도 같은 문제를 발생한다. 그는 나와 전적으로 다른 타자의 차이 다양성을 인정하지 못하고, 타자를 동일성으로 환원 시켜 타자에 대한 환대가 아니라 폭력적 억압을 행사한다. 그러므로 하버마스의 행위 이론은 타자와의 상호이해를 가져오지도 못하고 타자를 받아들이는 자세도 가질 수 없다. 결론적으로 계시와 이성 어느 한쪽으로 편입시키지 않는 기독교의 관계적 삼위일 체의 주장은 하버마스의 의사소통 합리성이 폭력적인 것을 비판함과 동시에 차이 다양성과 동일성을 동시에 주장할 수 있는 진정한 합리성이라 할 수 있다.

목차

초록
I. 들어가는 말
II. 관계적 삼위일체와 신학적 합리성
1. 바르트의 양태론적 삼위일체론
2. 관계적 삼위일체론
3. 관계적 합리성
III. 하버마스의 의사소통적 합리성
1. 합리성 문제에 관심을 두는 사회학
2. 보편적인 동의를 목적으로 하는 의사소통적 합리성
IV. 관계적 삼위일체와 의사소통적 합리성
V.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진훈 Kim, Jin-Hun. 성결대학교 외래교수 / 실천신학 / 사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