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물질(Matter)과 물질화(Materialization)에 대한 신학적 성찰과 기독교 윤리적 의의

원문정보

Christian Ethical Significance and Theological Reflection on Matter and Materialization

김은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Based on theological reflection on the matter that makes up the earth, this paper criticizes the post-world theology of traditional theology, which has simply objectified the material environment, and attempts to redefine the ontological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non-humans through theological consideration of the process of matter and materialization. It is also intended to respond more actively to the climate crisis by emphasizing the theological importance of the earth by re-recognizing the dualism between humans and matter, which is still discussed separately, as a process of materialization, by attempting an existence-recognition transformation through theological reflection and extermination on matter. Finally, the Korean church should now attempt a theological transformation to fulfill its responsibilities more urgently for the healing and recovery of the world under control by carrying out the theological reconstruction of materialization that are newly raised after the pandemic. In other words, the new theological composition devoted to materialization seeks new possibilities in Christian life of faith within a new perception of the unique behavior of matter and the ontological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non-humans to overcome ecological ethical problems in the Anthropocene era.

한국어

본 논문은 지구를 구성하고 있는 물질에 대한 신학적 성찰을 수행하며 물질 환경 을 그저 대상화해 온 전통 신학의 탈세계적 신학을 비판하고 물질(matter)과 물질화 (materialization)의 과정에 대한 생태 신학적 연구이다. 생태적 전환의 시대에 물질의 새로운 이해는 기독교가 물질을 배제하고 높은 곳을 향한 내세 지향적 신앙을 추구하 는 한 인류의 공유지인 지구를 돌보아야 하는 책임에서 멀어지는 현실에 대한 반성으 로 이끈다. 그리고 그 배경에 존재하는 타락한 세계라는 신학적 관념으로 기후 위기 에 소극적으로 응답하는 한국교회의 변화를 위해 지구를 구성하고 있는 물질 환경에 대한 새로운 신학적 성찰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이러한 과정은 오랫동안 물질을 그저 죽어있는 대상으로 바라본 신학적 관점과 더 나아가 물질을 영혼과 대립하거나 이차 적인 대상으로 사유해 온 신학 전통이 가져온 기후 위기에 대한 무감각성과 지구 파 괴적 결과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지 못하는 한계의 비판이다. 또한 물질에 대한 신학적 반성과 성찰을 통해 물질과 인간과의 관계의 존재-인식론적 전환을 시도함으로 여전히 각각 분리된 채 사유하는 인간과 물질과의 이원론을 물질화의 과정으로 재인식하 여 지구 신학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더욱 적극적으로 기후 위기에 대응하기 위함이다. 이제 한국교회는 물질 배제의 신학 전통이 가져온 심각한 현실을 통감하며 동시에 팬 데믹 이후 새롭게 제기되는 물질에 관한 신학적 재구성을 수행함으로 신음하는 피조 세계의 치유와 회복을 위한 그리스도인의 책임을 강조할 것이다. 즉 물질화에 천착한 새로운 지구 신학은 물질의 고유한 행위성과 인간과 비인간의 존재론적 관계성에 대 한 새로운 인식 안에서 그리스도인들은 지구가 인류의 공유지임과 인류는 지구공동체 의 일원임을 공유하며 생태적 삶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목차

초록
I. 들어가는 말: 팬데믹 이후 주목하는 물질(matter)
II. 전환기적 시대의 물질적 전회(Material Turn)와 생태신학의 응답
III. 전통 신학과 근대과학의 물질 이해와 물질에 대한 생태신학적 전환
IV. 탈세계적 신학을 극복하며 물질을 재정의하는 현대 신학
V. 전환기적 시대에 생태신학으로서의 지구 신학
VI.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은혜 Kim, Un-Hey. 장로회신학대학교 교수 / 실천신학 / 기독교와 문화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