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 헤이세이(平成) 30년, ‘상징’천황제의 생존 전략을 묻는다

시대의 상징으로서 근현대 일본의 연호와 시호

원문정보

Era Names and Posthumous Titles in Modern and Contemporary Japan as Symbols of the Times

박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focuses on era names (年號) and posthumous titles (諡號) associated with the modern and contemporary emperor system as symbols for distinguishing and remembering the eras in Japan. For this purpose, the article examines the process of establishing related systems and practices, the public’s reaction to the emergence of new traditions and their desires for participation, the crisis of the era names and posthumous titles caused by the defeat in the war and democratization, and the process of transforming into a new system through discussions including those on the issue of public participation and surviving to this day. After the ascension and reign of Emperor Meiji, the first emperor in modern Japan, new practices regarding era names and posthumous titles emerged one after another, such as the “one-era-one-name system”(一世一元制), the streamlining of era name reviewing process, the prohibition of abdication during the emperor’s lifetime, and the use of the era name as the posthumous title after his death. However, it took nearly 60 years since the opening of the Meiji era for these practices to be institutionalized through the enactment of the Imperial House Law (皇室典範), Ascension Ordinance (登極令), and Imperial House Funeral Ordinance (皇室喪儀令). Meanwhile, people were interested in and eager to participate in the posthumous title decision process, which had not yet been institutionalized and had enough time until the decision. And they were also flustered by the emergence of new practices regarding the title. However, they finally came to embrace it because the era name used by Emperor Meiji, who had turned Japan into the first-class world power and empire, was selected as his posthumous title. As a result, the one-era-one-name system and the “one-name-one-title system”(一元一號制) were combined and repeated thereafter. However, the defeat in 1945 and democratization removed the legal basis for era names and posthumous titles, and discussions such as those on abolishing era names or deciding them upon the public’s ideas emerged. In response, the government granted a new basis called Era Name Act (元號法), stipulating the cabinet-led selection of the era name, and revived the lifelong reign and the one-era-one-name system. In addition, the possibility of the National Diet’s involvement in the issue of posthumous titles was excluded. When the first succession to the throne after the war occurred, the prewar systems of one-era-one-name and one-name-one-title were reaffirmed. And the recent revival of abdication before the emperor’s death and the title of emperor emeritus were also regarded as exceptional events. In this way, the status of era names and posthumous titles as symbols of the times continues throughout prewar and postwar periods and to this day, which in turn contributes to the survival of Japanese emperor system.

한국어

본고는 일본에서 시대를 구분하고 기억하는 상징으로서 근현대 천황제에 수반된 연호와 시호에 주목하여 이와 관련된 제도와 관행의 성립 과정, 새로운 전통이 출현한 것에 대한 국민들의 반응과 참여 욕구, 패전과 민주화가 연호와 시호에 초래한 위기와 국민 참여 문제를 포함하는 논의를 거쳐 새로운 제도로 변용하여 오늘날까지 생존하는 과정을 고찰했다. 근대 최초의 천황인 메이지 천황의 즉위 및 개원 이후 일세일원제, 연호 심의 절차 간소화, 천황위 계승 후 개원, 생전 퇴위 금지 등 연호에 관한 새로운 관행이 차례로 등장했다. 그리고 이는 이토 히로부미의 주도하에 40년이 넘는 장기간에 걸쳐 황실전범 및 등극령 제정으로 제도화되었다. 다만 황실상의령은 메이지 천황의 생전에는 끝내 재가되지 못하면서 시호는 제도화되는 데 이르지 못했다. 다음으로 국민들은 아직 제도화되지 않았고 결정까지 시간적 여유가 있는 시호 결정 과정에 관심을 가지고 참여하고자 했다. 또한 천황이 생전에 사용한 연호를 시호로 사용하는 새로운 관행의 출현에 당황하기도 했다. 하지만 일본을 ‘일등국’이자 제국으로 만든 메이지 천황이 일생 동안 사용한 연호를 시호로 택했다는 점에서 국민들은 이를 수용했다. 그 결과 일세일원제와 일원일호제가 결합하고 천황이 교대될 때마다 반복되었으며, 또 황실상의령이 제정되면서 시호도 제도화되었다. 한편 패전과 점령, 민주화를 계기로 황실전범, 등극령, 황실상의령이 개정・폐지되고 연호 폐지론이나 국민 공모론 등이 등장하면서 연호와 시호는 위기에 직면했다. 이에 정부는 원호법이라는 새로운 법적 근거를 부여하여 내각 주도의 연호 선정을 규정하고 종신 재위 및 일세일원제를 부활시켰으며, 또 시호 문제에서도 국회 측의 관여를 배제했다. 그리고 전후 최초의 천황 교대에서는 전전의 일세일원제와 일원일호제를 재확인했고, 최근에 있었던 천황의 생전퇴위 및 상황 호칭 부활도 예외적인 조치로 간주했다. 이처럼 시대의 상징으로서 연호와 시호의 지위는 전전과 전후를 거쳐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이것이 역으로 천황제의 생존에도 기여하는 것이다.

목차

1. 들어가며
2. 근대 연호 및 시호 관련 제도의 성립
3. 근대의 개원 및 시호 결정과 국민들의 반응
4. 현대 연호 및 시호에 관한 논의와 제도의 변용
5. 맺음말

저자정보

  • 박완 PARK Wan. 한양대학교 창의융합교육원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