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Fitness Center Closures by Region during Infectious Disease Outbreaks: The Differential Role of Risk Factor Exposure and Card Spending
초록
영어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factors related to exit decisions within the healthcare industry. Drawing on the exercise motivation theory, we delineate the hygiene and fashion sectors as categories adjacent to the healthcare sector and elucidate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these sectors through supplier-side risk perception and buyer-side card spending during infectious disease outbreaks. With publicly available data and card spending data, we analyze fitness center closures in Seoul using a spatial model. The findings reveal the following patterns: first, from the suppliers’ side, regions with a higher concentration of workers in the hygiene category tend to experience a greater number of fitness center closures. In contrast, regions with a larger proportion of fashion-related workers exhibit a lower rate of closures. Second, considering the buyers’ perspective, regions with elevated card spending in the hygiene sector show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losures, while regions with higher fashion-related compensatory consumption are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number of fitness center closures.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a deeper understanding of how the healthcare market responds to health crises, offering valuable insights for industry stakeholders and policymakers.
한국어
본 연구는 감염병 확산 상황에서 생활체육 업종의 시장 퇴출 의사결정 요인을 탐구한다. 운동 동기 이론을 기반으로 위생과 패션을 생활체육 인접 업종으로 정의하고, 공급 차원의 위험요인노출과 수요 차원의 소비지출로 업종 간 관계를 구조화하여 폐업과의 연관성을 밝힌다. 이를 위해 공공데이터와 카 드 소비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공간효과를 반영한 베이지안 다수준 계층모형을 구축하였다. 분석 결 과, 공급 차원에서 위험요인과의 관여도가 높은 위생 업종 종사자가 많은 지역에서 헬스장 폐업이 많이 발생한 반면, 관여도가 낮은 패션 업종 종사자가 많은 지역에서는 폐업이 적게 관찰되었다. 소비 차원 에서는 영역 간(패션) 보상 소비가 높은 지역에서 폐업이 더 많이 일어난 한편, 영역 내(위생) 보상 소 비가 높은 지역은 퇴출 의사결정에 유의한 차이를 주지 못한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본 연구는 건강 위 기 인식 및 이로 인한 파급효과를 살핌으로써 관련 이론 및 실무에 기여한다.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배경
2.1 상권과 폐업 의사결정
2.2 운동 수행 동기와 생활체육 인접 업종
2.3 위험요인노출과 위험지각
2.4 위기 상황에서의 소비
Ⅲ. 연구 방법
3.1 데이터
3.2 변수 측정
Ⅳ. 연구모형 및 결과
4.1 공간 상관 탐색
4.2 공간 일반화 혼합모형
4.3 실증 분석 결과
Ⅴ. 결론
5.1 연구의 요약
5.2 시사점
5.3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향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