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Research Article

채색문화유산 디지털 사진의 색재현을 위한 영향 인자 분석과 최적 방법론 연구

원문정보

Study on Influence Factor Analysis and Optimal Methodology for Color Reproduction of Digital Photography of Painted Cultural Heritage

김영환, 조영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color management system (CMS) for digital photographs of painted cultural heritage requires consideration of the camera as an input device, lighting as a shooting condition, and color charts and spectrophotometers as absolute color standards.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basic experiments to derive the effects of these factors on digital color reproduction and the application methodolog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wo types of spectrophotometers for CMS and the spectrophotometer used for direct measurement of painted cultural heritage showed almost similar color reproduction, and the digital camera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olor reproduction regardless of the operating principle, image sensor type, and resolution. Although the color reproduction under the three lighting conditions was execellent overall, the instantaneous and continuous light used in the experiment showed a lower color difference than the LED light. When these optimal conditions were applied to the Dancheong (traditional multicolored paintwork) specimen, the color difference of Δ11.57 before color reproduction decreased dramatically to Δ1.02 after color reproduction. This means that the digital color reproduction process brought the Dancheong specimen has become closer to the true color. Digital photography is an essential recording method in the process of conserving and utilizing cultural heritage. In the absence of manuals or guidelines for digital photography-based color reproduction, basic experimental research has great potential as a methodology for the documentation of painted cultural heritage. In addition, if color reproduction technology is applied to three-dimensional scanning, where the importance of color recording is relatively overlooked, it is believed that the digital recording process can be advanced and actively used for the conservation of painted cultural heritage.

한국어

채색문화유산 디지털 사진의 색관리(color management system; CMS)를 위해서는 입력장치 인 카메라, 촬영 조건인 조명, 절대색 기준인 컬러차트와 분광측색계를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디지털 색재현에 미치는 인자들에 대한 영향과 적용 방법론을 도출하기 위해 기초실험을 수행하였다. 이 결과, CMS 전용 2종과 채색문화유산의 직접 측색에 사용되는 분광측색계는 거의 유사한 색재현도를 나타냈다. 또한 디지털카메라는 작동 원리, 이미지 센서 종류와 해상도에 상관없 이 색재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3가지 조명 조건에 따른 색재현도는 전체적으로 뛰어났지만, 실험에 사용된 순간광과 지속광이 LED 조명보다 낮은 색차를 나타냈다. 이러한 최적 조건을 단청 시편에 적용한 결과, 색재현 전 Δ11.57의 색차가 색재현 후 Δ1.02로 급격히 감소하였다. 이는 디지 털 색재현 과정을 통해 단청 시편이 현색에 가까워진 것을 의미한다. 디지털 사진 촬영은 문화유산의 보존 및 활용 과정에서 필수적인 기록 방법이다. 디지털 사진 촬영 기반 색재현 매뉴얼 또는 가이드 라인이 전무한 실정에서 기초실험 연구는 채색문화유산의 기록화 방법론으로 활용 가능성이 매우 높다. 또한 상대적으로 색 기록의 중요성이 간과되고 있는 3차원 스캐닝에 색재현 기술을 적용한다면 디지털 기록화 과정을 고도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채색문화유산의 보존에 적극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2. 연구대상 및 방법
3. 디지털 색재현 기초실험 결과
3.1. 분광측색계 색재현도 비교
3.2. 컬러차트 색재현도 비교
3.3. 디지털카메라 색재현도 비교
3.4. 조명 색재현도 비교
3.5. 디지털 색재현 방법론 적용 및 고찰
4. 결론
사사
REFERENCES

저자정보

  • 김영환 Young Hwan Kim. 국립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조영훈 Young Hoon Jo. 국립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