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Research Article

저습지 출토 수침고목재의 미생물 분해 특징 및 미생물 군집 분석

원문정보

Characterization of Microbial Decay and Microbial Communities in Waterlogged Archaeological Wood Excavated from the Wetland

김민석, 임주원, 차미영, 김종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natomical and chemical changes due to microbial decay and microbial communities in three waterlogged archaeological woods, namely Dongnim 1, Dongnim 2, and Dongnim 3, excavated from the wetland of the Dongnim-dong archaeological site in Gwangju, were investigated. Dongnim 1−3 exhibited a maximum moisture content approximately 6 to 8 times higher than that of undecayed recent wood, and there was no correlation with the burial period. Chemical analysis revealed an increase in ash and hot water extractive content in Dongnim 1−3 compared to undecayed recent wood, while the solvent extractive content tended to decrease. Additionally,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holocellulose content with a relative increase in lignin concentration in Dongnim 1−3. Microscopic observations showed erosion bacteria decay and soft rot decay in Dongnim 1−3. The microbial community analysis of Dongnim 2 and 3 revealed the dominance of Ascomycota (98% to 99%) in the fungal community and Proteobacteria (34% to 55%) as the predominant bacterial phylum. Nonetheless, significant differences in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 and diversity were observed between Dongnim 2 and Dongnim 3.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광주광역시 동림동 유적의 저습지에서 출토된 3점의 활엽수 수침고목재 (동림 1, 동림 2, 동림 3)를 대상으로 미생물 분해에 따른 해부학적, 화학적 특성 변화를 파악하 고 수침고목재에 존재하는 미생물 군집을 조사하였다. 동림 1−3의 최대함수율은 건전재의 최 대함수율보다 6∼8배 정도 높았으며 매장 기간과의 상관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 화학분석 결 과 동림 1−3의 회분 및 온수추출물 함량은 건전재에 비해 증가한 반면 유기용매 추출물 함량 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아울러 홀로셀룰로오스 함량은 크게 감소하고 리그닌 함량은 상대적으로 크게 증가하였다. 현미경 관찰 결과 동림 1−3 모두에서 침식형 세균과 연부후균에 의한 피해가 관찰되었다. 차세대염기서열분석 기법을 통해 동림 2와 3의 미생물 군집을 분석한 결과 두 시료 모두에서 자낭균문(98∼99%)이 진균 군집(fungal community)의 대부분을 차지하 였고, 세균 군집(bacterial community)에서는 Proteobacteria문(34∼55%)이 가장 우세한 군집으로 검출되었다. 그러나 전체적인 미생물 군집 구조와 다양성은 동림 2와 3 사이에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2. 재료 및 방법
2.1. 공시재료
2.2. 최대함수율 측정
2.3. 화학 분석
2.4. 현미경 관찰
2.5. 미생물 군집 분석
3. 결과 및 고찰
3.1. 최대함수율 변화
3.2. 화학조성 변화
3.3. 미생물 분해 양태
3.4. 미생물 군집 분석
4. 결론
사사
REFERENCES

저자정보

  • 김민석 Minseok Kim. 전남대학교 동물자원학부
  • 임주원 Ju Won Lim,. 전남대학교 임산공학과
  • 차미영 Mi Young Cha. 대통령기록관 보존복원과
  • 김종식 Jong Sik Kim. 전남대학교 임산공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