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Research Article

아라가야 생산유적 출토 도질토기(함안양식토기)의 제작 특성 연구 : 함안 우거리 토기요지 Ⅴ 출토품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Production Characteristics of Ceramic-quality Pottery from Aragaya (Haman-style Pottery) : Focused on Excavated Artifacts from Ugeo-ri Kiln Site V in Haman

박영아, 한우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for the purpose of securing basic data and examining the production characteristics of pottery produced in Aragaya, 57 pieces of pottery excavated from the kiln of Haman Ugeo-ri Ⅴ and 22 pieces of kiln construction facilities were selected and compared by type and the homogeneity of the production raw materials was reviewed. As a result, most of the earthenware was made with thin walls and carefully selected clay, and smooth and dense cross-sectional structure and color change of the core were confirmed due to firing in a high-temperature environment of 1,300℃ or more. Additionally, considering the differences in chemical composition for each type, it is presumed that different raw material preparation processes were used depending on the firing degree intended by the potter. In the case of some samples that do not match the actual firing degree, it is judged to be a failure product or the result of multiple re-firing.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kiln construction section facility, mica and chlorite were detected in the weathered rock layer corresponding to the lowest layer of the combustion zone, so it appears that high temperatures were not reached in this section. On the other hand, high-temperature generated minerals such as Cristobalite and Mullite were detected in the soil of the fired section, indicating that it was fired at high temperature. Compared to the kiln-built facility, a higher viscosity composition of earthenware clay is confirmed. Therefore, it is presumed that earthenware was made using soil with higher plasticity than kiln-building facilities. In addition, since the clay content of the kiln construction facilities showed a more diverse composition range than that of earthenware, it is assumed that clay of various compositions was used when repairing the kiln.

한국어

본 연구는 아라가야 생산유적 출토 도질토기의 기초 자료 확보 및 제작 특성 검토를 목적으로 함안 우거리 토기요지 Ⅴ 가마 내 출토 토기 57점 및 가마 축조 시설 22점을 선정하여 기종별 비교 및 제작 원료의 동질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토기가 얇은 기벽과 정선 된 태토로 제작되었으며, 1,300℃ 이상의 고온 환경에서의 소성으로 인한 매끈하고 치밀한 단면 조직, 속심의 색도 변화 등이 확인되었다. 또한 기종별로 나타나는 화학조성의 차이를 통하여 도공이 의도하는 소성도에 따라 다른 원료 준비 과정을 거친 것으로 추정되며, 일부 실제 소성 도와 일치하지 않는 시료의 경우 가마 출토 토기의 특성 상 실패품이거나 여러 차례 재소성에 의한 결과로 판단된다. 가마 축조 시설의 분석 결과 연소부의 최하층에 해당하는 풍화암반층에 서는 운모류, 녹니석 등이 검출되어 고온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보이며, 소성부 시설토는 Cristobalite, Mullite 등의 고온 생성 광물이 검출되어 고온 소성 특성이 확인되었다. 가마 축조 시설에 비하여 토기 원료 토양의 중성산화물 함량이 높기 때문에 보다 가소성이 높은 토양을 이용하여 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토기에 비하여 가마 축조 시설이 더 다양한 조성 범위 를 보이므로 가마를 보수할 때마다 다양한 조성의 토양을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2. 유적 현황 및 연구 방법
2.1. 유적 현황 및 연구 대상
2.2. 연구 방법
3. 연구결과
3.1. 물리적 특성
3.2. 미세구조 관찰
3.3. 광물학적 분석
3.4. 화학조성
4. 고찰
4.1. 재료적 특성
4.2. 소성 특성
4.3. 가마 축조 시설과의 특성 비교
5. 결론
사사
REFERENCES

저자정보

  • 박영아 Yeong A Park.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실
  • 한우림 Woo Rim Han.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실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