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방사선 조사한 한우 우둔의 저장기간에 따른 전자코패턴 분석

원문정보

Analysis of Volatile Compounds Pattern of Hanwoo Rump During Storage with Different Irradiation Doses Using MS-Electronic Nose

최진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Hanwoo rump with different doses of radiation was wrapped and stored at 7° C for 20 days, and the changes of volatile compounds during storage were analyzed using MS-electronic nose. In the case of the control, the amount of the volatile component was small as it was located in the positive direction on the 4th day of storage, but the value of DF1(R²=0.9980, F=509.35)moved in the negative direction from the 8th day of storage, And DF2 values were not significantly dif erent from DF1 values(R²=0.9870, F=75.98). In 3kGy treatment, no significant dif erence was observed until 12th day of storage. However, after 16 days of storage, DF1(R²=0.9941, F=168.94) and DF2 values gradually shifted in the negative direction(R²=0.9134, F=10.54). The DF1 value(R²=0.9984, F=643.61) of 5kGy treatment was in the positive direction until the 20th day of storage, but it was located in the negative direction from the 16th day to the 20th day of storage(R²=0.9838, F=60.73). In the case of 10kGy treatment, the DF1 value was located in the positive direction until the 20th day of storage, but the after 24 days of storage, DF1 value(R²=0.9955, F=219.83) remained in the negative direction while the DF2 value was shifted from the positive direction to the negative direction(R²=0.9839, F=61.27). Therefore, it was considered that the irradiated treatment to the Hanwoo rump did not af ect the volatile components more as the storage period in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And also there was no difference until 20 days of storage in the irradiated treatments of 10 kGy or less.

한국어

방사선량이 다른 이 한우 안심은 포장하여 7℃에서 20일간 저장하였으며, MS-전자코를 이용하여 저장 시 휘발성 화합물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대조군의 경우 저장 4일째 양의 방향에 위치하여 휘발성 성분의 양이 적었으나, DF1(R²=0.9980, F=509.35)의 값은 저장 8일째부터 음의 방향으로 이동하였고, DF2의 값은 DF1 의 값(R²=0.9870, F=75.98)과 큰 차이가 없었다. 3kGy 처리는 저장 12일째까지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저장 16일 이후 DF1(R²=0.9941, F=168.94)과 DF2의(R²=0.9134, F=10.54) 값은 점차 음의 방향으로 이동하였다. 5kGy 처리의 DF1 값(R²=0.9984, F=643.61)은 저장 20일째까지는 양의 방향이 었으나, 저장 16일째부터 20일째까지는 음의 방향으로 위치하였다(R²=0.9838, F=60.73). 10kGy 처리의 경우 저장 20일째까지 DF1값(R²=0.9955, F=219.83)은 양의 방향으로 위치하였으나, 저장 20일 이후 DF2값이 양의 방향에서 음의 방향으로 이동한 동안 DF1 값은 음의 방향으로 유지되었다(R²=0.9839, F=61.27). 따 라서 한우 우둔에 대한 조사 처리는 대조군에 비해 저장 기간이 증가할수록 휘발성 성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그리고 10kGy 이하의 조사 처리에서도 저장 20일까지 차이가 없었다.

목차

요약
Abstract
I. 서론
II. 실험방법
1. 실험재료
2. 방사선 조사
3. 전자코 분석
4. 판별함수 분석
5. 통계분석
III. 결과 및 고찰
1. 한우 우둔의 저장기간에 따른 냄새성분 변화 패턴 분석
IV.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최진영 Choi, Jin-Young. 신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학술발표대회집, 워크숍 자료집 중 4페이지 이내 논문은 '요약'만 제공되는 경우가 있으니, 구매 전에 간행물명, 페이지 수 확인 부탁 드립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