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Compliance to Feedback on Uncivil Comments in a Virtual Online News Portal: The Role of Avatar Presence
초록
영어
As digital communication gains prominence, there is an increasing trend in uncivil behaviors like rude or hateful comments and the empathetic actions towards them, highlighting the need for social efforts to address these issues. As part of these endeavors, we investigated how avatar feedback in a virtual news portal affects users' empathy towards uncivil comments. We defined both posting and empathizing with uncivil comments as antisocial actions. To this end, we posted socially controversial news in a virtual space and provided feedback in two forms when participants selected uncivil comments: text-only feedback and feedback accompanied by an avatar. We then assessed the impact of this feedback on behavioral conformity, guilt, and self-image concern through surveys. Our results showed that avatar-provided feedback significantly influenced participants' social responses more than text-based feedback. Interaction with avatars notably increased participants' behavioral conformity, guilt, and self-image concern. We concluded that avatar-based interactions can positively influence users' social behaviors and attitudes, suggesting their potential in fostering a more civil and responsible digital communication culture.
한국어
디지털 커뮤니케이션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질수록 무례나 혐오와 같은 반시민적인 댓글과 이에 공감하는 행 동 역시 증가하고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사회적인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서, 우리는 반시 민적인 댓글을 남기는 행위 뿐 아니라, 이에 대해 공감하는 행위 역시 반시민적인 것으로 규정하여 가상 뉴스 포털에 서 아바타의 피드백이 사용자들의 반시민적 댓글 공감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사회적 논란이 있는 뉴스를 가상 공간에 게시하였고, 함께 게시된 댓글들 중 참가자들이 반시민적 댓글을 선택할 때 텍스트로만 된 피드백과 아바타가 같이 등장하는 피드백인 두 가지 방식으로 피드백이 이루어졌다. 이후 피드백이 행 동 순응에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을 파악하기 위해 행동 순응, 죄책감, 인상관리욕구를 설문을 통해 평가하였다. 그 결과, 텍스트로 된 피드백보다 아바타가 피드백을 제공하였을 때 참가자들의 사회적 반응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아바타와의 상호작용은 참가자들의 행동 순응과 죄책감, 인상관리욕구를 높였다. 우리는 아바타 기반 의 상호작용이 사용자들의 사회적 행동과 태도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음을 확인했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고찰
1. 죄책감, 인상관리욕구(self image concern)와 온라인 행동 순응
2. 아바타 기반의 피드백과 반시민적 행동 개선
Ⅲ. 연구방법
1. 참가자들
2. 실험 자극 및 절차
Ⅳ. 연구결과
1. 반시민적 행동 개선 피드백에 대한 순응 의지
2. 죄책감
3. 인상관리욕구(Self Image Concern)
V.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