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화 융합(CC)

특성화 고등학생들의 진로불안, 진로스트레스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정체감의 매개효과

원문정보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Ident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Stres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구혜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seek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identity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areer anxiety, career stress, career ident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ased on these results, we provide basic data for students' career guidance and career education.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argeting third-year commercial high school students preparing for their caree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as career anxiety increases, students' career stress increases. However, career anxiety was found to have no direct effect on career ident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cond, career stres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career ident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identity was found to be hig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stres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s shows that career stress increases actions for career preparation through career identity.

한국어

본 연구는 특성화 고등학교 중에서 상업계열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로불안, 진로스트레스, 진로정체감 및 진로 준비행동의 구조적 관계에서 진로정체감의 매개효과를 밝힘으로써 학생들의 진로지도 및 진로교육을 위한 기초자료 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진로를 준비하고 있는 상업계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진로불안이 높아질수록 학생들의 진로스트레스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진로불안은 진로정체감과 진로준비행동에는 직접적인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스트레스는 진로정체 감과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스트레스와 진로준비행동간의 관계에서 진로 정체감의 매개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진로스트레스는 진로정체감을 통하여 진로준비를 위한 행동이 많아 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1. 연구 설계
2. 측정
Ⅳ. 결과분석
1. 측정항목의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
2. 가설검증
Ⅴ.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구혜경 Goo Hye Kyoung. 정회원, 서원대학교 경영학부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