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the Topic Types of Mobility-Related Graduation Works of Industrial Design Engineering Majors - Focusing on Cases from K-University over the Past 5 Years
초록
영어
In general, design education related to transportation has been recognized as a department specialized in transportation design or as an area of detailed transportation majors within industrial design majors. However, as technological, social, and environmental factors change, the concept of mobility and the ecosystem related to the mobility industry are diversifying, and accordingly, the category of mobility-related design is expanding further. Based on this background, this study is not a mobility design major, but it aims to find implications by analyzing the trend and type of topic selection related to the mobility ecosystem among the last five years of graduation design topics conducted in the design engineering major. As a result of the study, of a total of 131 graduation design works conducted over the past five years, about 30 works were highly related to mobility, and their types were very diverse.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change and expansion of the mobility ecosystem expanding from products to services and systems were also reflected in the selection of graduation works in that various topics approached from user-centered and user experience were proposed and made into works.
한국어
일반적으로 운송기기 관련 디자인 교육은 운송 디자인에 특화 된 학과나 또는 산업디자인 전공 내 운송 세부 전공의 영역으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기술적, 사회적, 환경적 요인들의 변화에 따라 모빌리티 개념 및 모빌리티 산 업 관련 생태계의 다변화가 진행중이고, 그에 따라 모빌리티 관련 디자인의 범주도 더욱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 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모빌리티 디자인 특화 전공은 아니지만, 디자인공학 전공에서 수행된 최근 5년간의 졸업설계 주제 가운데, 모빌리티 생태계 관련 주제 선택의 추이 및 유형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찾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결 과 최근 5년간 진행된 총 131개의 졸업설계 작품 가운데 모빌리티 관련성이 높은 작품은 30여 작품이었으며, 그 유 형도 매우 다양하였다. 결론적으로 사용자 중심 및 사용자 경험 차원에서 접근한 다양한 주제들이 제안되고 작품화 되었다는 점에서, 제품에서 서비스 및 시스템으로 확장되고 있는 모빌리티 생태계의 변화 및 확장이 졸업작품 주제 선정에도 반영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2. 연구의 방법과 범위
Ⅱ. 이론적 고찰
1. 모빌리티의 개념 및 패러다임 변화
2. 모빌리티 디자인과 패러다임 변화
Ⅲ. K-대학교 디자인공학전공의 사례
1. 디자인공학전공의 의의와 졸업설계 교과 특성
2. 모빌리티 관련 졸업설계 주제 및 유형 분석
Ⅳ.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