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화 융합(CC)

중장년 복합만성질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 2018년 한국의료패널 자료 분석

원문정보

Comparison of Factors Influenc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between middle-aged and Senior-aged Patients with Complex Chronic Diseases : Analysis of the 2018 Korea Health Panel Data

김상미, 박혜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a descriptive exploratory research aimed at identifying factors influencing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HRQOL) in middle-aged and senior-aged patients with complex chronic disease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extracted from the Korean Medical Panel annual data. A total of 2,408 patients, with two or more chronic diseases were includ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TATA 15.0 software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ANOVA,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at in middle-aged patients, educational level, household income, economic activity, stress, experience of despair, and basic needs satisfaction positively influenc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n the other hand, types of medical insurance, depressive feelings, and suicidal ideation exert a negative impact. In the case of senior-aged patients, positive influences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ere observed for educational level, household income, economic activity, alcohol consumption, stress, experience of despair, and basic needs satisfaction. Conversely, negative influences were noted for marital status, types of medical insurance, depressive feelings, and suicidal ideation. Therefore, in order to enhance the HRQOL for middle-aged and senior-aged patients with complex chronic diseases, tailored policies considering individual and age-specific characteristics should be formulated.

한국어

본 연구는 중장년 복합만성질환자의 일반적 특성과 건강관련 특성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한국의료패널(version1.7)에서 2018년 자료를 추출하여 활용하였다. 2개 이상의 만성질환을 의사로부터 진단을 받은 경우를 복합만성질환자로 정의하여2,408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TATA 15.0 프로그램을 이용해 서술적 통계, t-test, ANOVA, 다중회귀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중년의 경 우 교육수준, 가구소득분위, 경제활동, 스트레스, 좌절경험, 기본적 욕구충족은 건강관련 삶의 질에 양의 영향을, 의료 보장유형, 우울감, 자살충동은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년의 경우 교육수준, 가구소득분위수준, 경제활 동, 음주, 스트레스, 좌절경험, 기본적 욕구충족은 양의 영향을, 배우자, 의료보장유형, 우울감, 자살충동은 음의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장년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개인별, 연령별 특성을 고려 한 맞춤형 정책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설계
2. 연구자료 및 대상
3. 연구도구
4. 윤리적 고려
5. 자료 분석 방법
Ⅲ.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대상자의 건강관련 특성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질
4. 대상자의 건강관련 특성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질
5. 연구대상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Ⅳ. 토론
Ⅴ.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김상미 Kim, Sang-Mi. 정회원, 전주대학교 보건관리과 조교수
  • 박혜선 Park, Hye-Seon. 정회원, 경남도립거창대학 보건의료행정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