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화 융합(CC)

모바일 면세점 앱에서 AR 쇼핑 사용성 향상에 관한 연구 : 롯데 면세점 앱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improving the usability of AR Shopping in the Mobile Duty-free App : Focusing on the Lotte Duty-free App

유춘리, 남인용, 딩메이쥔, 왕수홍, 설원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Due to COVID-19, domestic Duty-free shops have been severely impacted, and with the expansion of the untact market, the proportion of mobile shopping has increased. So far, mobile duty-free shop AR shopping is not active, and related research is scarce. Therefore, we aims to enhance Duty-free Shopping APPs with AR technology by researching the needs of foreign users. First, in the mobile duty-free shop app, the AR shopping interface must be in a prominent position to be open and easy to use. Second, there should be an explanation or help for location and function so that all users can easily recognize the AR shopping interface. Third, when wearing duty-free items in the AR shopping interface or adding them to the storage and shopping cart of interest, the interface must be simple and flexible, making it convenient to use and operate. Fourth, technical improvements must be made to prevent errors. We expect that the research will help develop AR shopping technology and domestic duty-free shop AR shopping technology and revitalize online and offline duty-free shops.

한국어

코로나 19로 인해 국내 면세점산업은 큰 타격을 입었으며 언택트 시장이 확대되면서 모바일 면세점 쇼핑의 비 중이 늘고 있다. 경쟁이 매우 치열한 면세점시장에서 차별화와 고객 지속사용 유도하기 위해 AR 기술을 투입하여 모바일 쇼 핑뿐만 아니라 오프라인 점포 활성화에 기여할 수도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모바일 면세점 AR 쇼핑은 활발하지 않으며, 관련 연구도 미미한 실증이다. 이에 우리는 AR 기술 투입된 모바일 면세점 쇼핑 앱의 활성화를 목적으로 외국인 사 용자의 니즈를 연구하여 앱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모바일 면세점 앱에서 AR 쇼핑 인터페이스는 눈에 잘 띄 는 위치에 있어야 열고 사용하기 편리하다. 둘째, 모든 사용자가 AR 쇼핑 인터페이스를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위치와 기 능에 대한 설명 또는 도움말이 있어야 한다. 셋째, AR 쇼핑 인터페이스에서 면세품을 착용하거나 관심상품 저장 및 장 바구니에 추가 시 인터페이스는 간결하고 유연해야 해 사용 및 조작이 편리하다. 넷째, 오류 발생 방지를 위해 기술적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우리는 연구를 통해 AR 쇼핑 기술 및 국내 면세점 AR 쇼핑 기술 발전과 온·오프라인 면세 점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국내 모바일 면세점 앱 현황
2. AR 쇼핑
3. 사용성
Ⅲ. 사용성 평가 및 사용성 테스팅
1. 설문조사 및 분석 결과
2. 사용성 테스팅 및 분석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Ⅴ.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유춘리 Liu Chunli. 정회원 부경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박사과정
  • 남인용 Nam Inyong. 회원, 부경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 딩메이쥔 Ding Meijun. 정회원, 부경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박사과정
  • 왕수홍 Wang Xiuhong. 정회원, 부경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박사과정
  • 설원원 Xue Yuanyuan. 정회원, 부경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