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从文化生态主义来看儒家生命精神与性命合一的境界

원문정보

The Neo-Confucian Life-spirit and Its Sustainable Horizon of Unifying Human Nature and Mandate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Ecologism : Focusing upon Zhang-zai's Model of Qi Doctrine

김연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essay pays attention to an argument of cultural ecologism concerning the Neo-Confucian life-spirit and its sustainable horizon of unifying human nature and mandate, especially focusing upon Zhang-zai's model of qi doctrine. The keyword is “cultural ecologism” in which the principle of life and the value of morality are integrated in the grand stream of the life spirit of universe. Stemming from a reciprocal unity of ecology and culture, it can be characteristic of a conceptual framework as the organic structure of culture circumstances. For Neo-Confucianists, the reality of world is in the steam of myriad things under heaven and on earth. It is a coherent whole with a certain origin and unitary processes in the ecological circle of Nature. The process of maintaining the sustainability of culture within this world view can be approached from the holistic unity of “one force and its multiple manifestations.” It works implicitly as the basis for positing a unified total system to share a common way of thinking within the Neo-Confucian culture. Zhang-zai presents the doctrine of qi ontology as “one vital force and its many manifestations” to identically unify the Heavenly and the Humane. All the things of the world naturally form types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their apportionment of one yin and one yang. In their concrete manifestations, according to the thinking way of bentilun, things may have multiple distinctions and perform many different roles, but the principle remains unitary in that their differences are reciprocally related within a unifying system. This world view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process of sustainably cultivating the human virtue in operations of Confucian cultural ecologism. He incessantly seeks to institutionalize the moral canon of classical Confucianism on the triple line, namely, an identification of yiwuliangti, a succession of minbaowuyu, and an extension of xingmingheyi, which make a unity of coherence, interconnectedness and wholeness. As cultural beings with beliefs and values, human beings live their lives in complicated social networks. Consequently, the ecologismic concept of culture preserves as an open horizon of coexistence and cooperation for newly emergent order within an integral relationship of person and community.

한국어

본고에서는 유교사회의 공동체적 의식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하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그 논점은 문화생태주의의 사조에 착안하여 생명정신의 강령을 모색하는 것이다. 특히 장 재의 기일만수설(氣一萬殊說)을 사례로 하여 지속가능한 자아실현의 경계를 고찰한다. 이른바 문화생태주의는 인간사회와 그 주위의 생태적 환경의 관계 속에 문화의 총체적 방식을 투사해 낸 조화와 통합의 관점이다. 그것은 인간이 존재의 변화가능성 속에 살아가면서 인식의 실천 가능성을 통찰하고 가치의 지속가능성을 도모하는 취지를 지닌다. 장재는 자아실현의 경계는 생명의 이치와 도덕의 가치를 아우르는 천인합일의 보편적 이념을 지향한다. 태허(太虛)의 궁 극적 세계관은 태화(太和)의 도(道)에 따른 일물양체(一物兩体)의 동일선상에서, 건부곤모(乾 父坤母)에 따른 민포물여(民胞物與)의 연속선상에서, 성명합일(性命合一)의 연장선에서 접근 될 수 있다. 이러한 노선에서는 주체와 객체, 존재와 가치 등의 이분법적 경계를 해체함으로써 화합의 지속가능한 방식에 따른 통합적 경계를 지향한다. 장재의 세계관에서는 자연의 생태적 질서와 사회의 규범적 질서의 이분법적 구분을 해소하고 생명공동체의 통합적 차원에서 생명 정신을 발휘하고자 한다. 문화생태주의의 시선에서 보자면, 이는 대립과 모순의 불안정한 관 계로부터 통일과 조화의 안정적인 관계로, 대립과 통일, 모순과 조화 사이의 불확정적인 관계 로부터 통합의 확정적 관계로 나아가는 자아실현의 지속가능한 여정을 만들어 가는 것이다. 인간은 자신을 끊임없이 새롭게 자각하는 과정에서 자신을 계도하고 발전시키는 창조적 삶의 조감도를 그려나갈 수 있다.

목차

[국문초록]
1. 序言
2. 儒家的生命精神与文化生态主义的纲领
3. 张载气学的世界观与太虚的宇宙论
4. 气一万殊说与一物两体的本体论思维
5. 性命合一的自我实现与可继续境界
6. 结论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연재 KIM Yon-jae. 국립공주대학교 동양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