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논문: 『진휘속고』⋅『진벌휘고속편』 완역기념 -역사 밖으로 나온 사람들-

인물지를 통해 본 19세기 지식인의 사유방식 - 『진벌휘고속편』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Ways of Thinking of Intellectuals in the 19th Century based on a Book of People : With a Focus on Jinbeolhuigosokpyeon

권기중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offers an analysis of people recorded in Jinbeolhuigosokpyeon with statistical methods. The book has 1,026 people recorded in it. Judging from the percentage of people allocated to each catalog, the author showed the highest interest in people versed in poetry, calligraphy & paintings and Samgyoguryu. The author was also interested in eccentric, remarkable, and unusual people with special talent. A majority of the people recorded in the book lived in the 16th or 17th century with only six active in the 19th century. There was considerable information about people in addition to many books of people that he could consult in the second half of Joseon, but only a few people attracted his attention. In the book, 614 men had their social classes confirmed. Of them, 453(73.8%), 108(17.6%), and 53(8.6%) were from the Yangban, Jungin, and Sangcheon class, respectively. The book recorded people in the Yangban class 4.2 and 8.5 times more than people in the Jungin and Sangcheon class, respectively. Women appeared across diverse catalogs in the book. Some of them were recorded in the book for their talent in feng shui, singing, and the ability to predict a future, but most of them faithfully practiced the virtues of Confucian society including loyalty, faithfulness, chastity, fidelity, and filial piety. Many previous papers that analyzed books of people reported that the intellectuals of the times acknowledged various types of workers and changed their perceptions of chastity that forced unconditional sacrifices on women. It was also pointed out that they were different from their predecessors in that they recognized the occupational ethics and artistic values of Wihang people, but there is a need to examine if these ways of thinking shared by the intellectuals were not found in the intellectuals before 19th century. The remarkable people from the Jungin and Sangcheon class in Jinbeolhuigosokpyeon also appear in books written by intellectuals before the 19th century. It is because remarkable people naturally attract attention regardless of period and social class. This culture of records was not exclusive to the intellectuals of the 19th century. It has a strong aspect derived from the long-enduring tradition, and it is difficult to say that it was a new change. The dynamics of the 19th-century society is acknowledged, but it does not prove the modernity of the century immediately. When one tries to examine the modernity of the Korean people while being buried in the definitions of modernity sorted out based on Western society, it may rather pose an obstacle to the reconstruction of the 19th-century Korean society experienced by the ancestors.

한국어

본 글은 『진벌휘고속편(震閥彙攷續編)』에 수록된 인물들의 현황을 통계적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한 논문이다. 『진벌휘고속편』에는 모두 1,026명의 인물이 수록되어 있다. 편목당 수록인물의 비중을 보면 저자가 가장 관심을 둔 분야의 인물은 시서화(詩書畵), 삼교구류(三敎九流)에 능통한 자들이었다. 그 외에도 저자는 특별한 재능을 가진 기인이사에 흥미를 두고 있다. 수록 인물의 다수는 16세기, 17세기에 살았던 사람들이며, 19세기에 활동했던 인물은 6명에 불과했다. 조선후기에 들어와 참고할 수 있는 인물지나 인물에 대한 정보가 상당했음에도 저자의 관심을 끌 만한 인물은 소수에 지나지 않았던 듯하다. 신분이 확인되는 614명의 남성 가운데 양반은 453명(73.8%), 중인은 108명(17.6%), 상천은 53명(8.6%)이다. 양반이 중인의 4.2배, 상천의 8.5배 더 많이 수록되어 있다. 여성들은 다양한 편목에 등장하는데 풍수지리나 노래, 미래예측 등의 재주로 수록되기도 했기만, 대부분 충절, 수절, 정절, 의리, 효녀 등 유교사회의 덕목을 충실히 수행하던 여성들이었다. 인물지를 분석한 기존의 여러 논문을 보면, 당대의 지식인들은 다양한 직업인을 인정하고, 여성의 무조건적인 희생을 강요하던 정절에 대한 인식도 변했음을 서술하고 있다. 그들은 위항인의 직업윤리나 예술적 가치를 인정하고 있다는 점에서도 이전 지식인과 달랐음을 서술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지식인의 사유 방식이 19세기 이전 지식인에게는 발견할 수 없었던 인식인지는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진벌휘고속편』에 등장하는 뛰어난 중인⋅상천민들은 이미 19세기 이전 지식인들이 작성한 저작들에 수록되어 있었다. 어느 시대나 신분에 관계없이 뛰어난 인물들은 주목의 대상이었기 때문일 것이다. 이러한 기록문화는 19세기 지식인들의 전유물이 아니라 오래된 전통에서 나온 측면이 강하지 새로운 변화라고 보기 힘들다. 19세기 사회의 역동성은 인정하나 이것이 곧바로 근대성을 증명한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서구 사회를 바탕으로 정리된 근대성의 정의에 매몰되어 우리의 근대성을 확인하려다 보면, 자칫 우리 선조들이 겪었던 19세기 사회를 재구성하는 데 도리어 방해가 될 수 있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19세기 사회를 바라보는 시선
3. 편목과 수록 인물 분석
4. 맺음말 - 지속과 변화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권기중 KWON Ki-Jung. 한성대학교 크리에이티브 인문학부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