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율장의 수계법에 근거한 가(假)수계 제도의 적절성 논의

원문정보

Discussion of the Appropriateness of the System of Gasugye假受戒 in Light of the Vinayapiṭaka’s Ordination Law

이자랑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examines the appropriateness of the system of ‘Gasugye假受 戒’, which has recently been reviewed by the Jogye order(Daehan Bulgyo Jogye Jong 大韓佛教曹溪宗) for its feasibility, by comparing it with the provisions of the Vinayapiṭaka’s ordination law. This system emerged as a solution to the decline in the number of monks. It is difficult to make clear definition as it is currently in the review stage, but it seems that it can be defined as a ‘long-term [temporary] monastic order system.’ At the head temple or at a temple consisting of 10 or more resident monks, with the consent of 10 monks, the ‘novice precepts沙彌十戒’(or precepts equivalent to the novice precepts) are given and the monks are allowed to become monks and experience life as a monk at the temple after a certain period of training. In this case, ‘monk’ does not refer to bhikṣus or bhikṣunīs who are officially ordained, but to reserve monks at the level of śrāmaṇera or śrāmaṇerī. The main procedural feature of the process of becoming a monk is that there is no need to submit documents proving the arrangement of worldly life, such as submitting divorce documents. The emphasis is on making it easier to choose to become a monk by minimizing the psychological burden that would be felt by those wishing to become a monk by preserving the circumstances in which they can return when returning to monkhood. In this paper, we compare the contents of this monastic ordination system with the rules for ordination in the Vinayapiṭaka, focusing on two points: the ordination process, the process of returning to monastic life, and the process of re-ordaining, and examine its appropriateness. In conclusion, this system is highly likely to cause conflict between monks who became monks through the existing monastic order course and those who became monks through the system of Gasugye, thereby harming the ideology of monastic management such as equality and harmony. In addition, in the long term, it is believed that it will have an undesirable impact on maintaining the identity of the Jogye Order as a monastic order.

한국어

본 논문은 최근 대한불교조계종(이하 ‘조계종’으로 약칭)에서 시행 가능 성을 검토 중인 ‘가(假)수계 제도’를 율장의 수계법 규정과 비교하며 그 적절성 여부를 검토한 것이다. 이 제도는 출가자 감소 해결 방안의 일환으 로 등장하였다. 현재 검토 단계이므로 명확한 규정은 어렵지만, ‘장기 [임 시] 출가 제도’ 정도로 정의 가능할 것 같다. 본사 혹은 상주 승려 10명 이상으로 구성된 사찰에서 10명 승려의 동의하에 ‘사미십계’(혹은 사미십 계에 준하는 계)를 주고 출가시켜 일정 기간의 수습을 거친 후 그 사찰에 서 승려로서의 삶을 체험하도록 한다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이때 ‘승려’ 란 정식 출가자인 비구⋅비구니가 아닌, 사미⋅사미니 정도의 예비승을 가 리킨다. 출가 절차 상 주요한 특징은 이혼서류의 제출과 같은, 세속생활의 정리를 입증하는 서류를 제출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이다. 환속 시 되돌아 갈 수 있는 상황을 보존해 둠으로써 출가 희망자가 갖게 될 심리적 부담 감을 최소화하여 출가를 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에 주안점을 두 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가수계 제도의 내용을 출가 수계 과정, 환속 및 재 출가 과정이라는 두 가지 점을 중심으로 율장의 출가 규정과 비교하며 그 적절성을 검토한다. 결론을 말하자면, 이 제도는 기존의 출가 코스로 출가 한 출가자들과 가수계 제도를 통해 출가한 출가자들 간에 갈등을 유발함 으로써 평등이나 화합과 같은 승가 운영의 이념을 해치는 결과를 초래할 가능성이 높으며, 장기적으로 볼 때 출가승단이라는 조계종의 정체성 유지 에도 바람직하지 못한 영향을 끼칠 것으로 생각된다.

목차

한글요약
Ⅰ. 서론
Ⅱ. 출가 수계 과정
Ⅲ. 사계와 재출가
Ⅳ. 율장의 수계법과 가수계 제도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자랑 Lee, Ja-rang.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HK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