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육시게송(六時偈頌)에 대한 고찰 - 선도의『왕생예찬게』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Six Periods Verses(六時偈頌) - Shàn‐dăo’s Wangsaeng Yechange(往生禮讚偈), Centered on -

최복희(오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hàn‐dăo’s Wangsaeng Yechange(往生禮讚偈) is a the six periods of worshipping and repentance wen(六時禮懺文) for Pure Land-Solemn Vow. The reason why this the six periods of worshipping and repentance begins at sunset(日沒時) is because the Buddha land of Amita Buddha is in the west, and the Sixteen Meditation Practices(十六觀法) established in the Amitāyurdhyāna Sūtra also starts with the “Contemplation of the Setting Sun(日想觀)“ regarding sunset. Focusing on the six periods verses(六時偈頌) written in the Wangsaeng Yechange, the terms and contents were examined in related Buddhist Sutras. The first “sunset verses(日沒偈)” is referred to in four terms: “sunset impermanence verses(日沒無常偈)” “dusk verses(黃昏偈)” “dusk impermanence verses(黃昏無常偈)” and “the twilight impermanence verses(日暮無常偈)”, and the contents of the song are also different. In the third group, “dusk impermanence verses(黃昏無常偈)” there are two categories of quotes, which include the Dhammapada(法句經) or the Chuyao jing(出曜經). The second “the early of night verses(初夜偈)” includes “the early of night verses” and “the early of night impermanence verses(初夜無常偈)”. However, the two terms are used interchangeably and are divided into two groups depending on the content. The third “the middle of night verses(中夜偈)” has two terms with “the middle of night impermanence verses (中夜無常偈)” but its contents are divided into four groups. The fourth “the night after tomorrow verses(後夜偈)” has two terms, “the night after tomorrow impermanence verses(後夜無常偈)” but the contents are the same. The fifth “early morning verses(平旦偈)” appears in three terms: “injo verses(寅朝偈)” and “injo clean verses(寅朝清淨偈)”, but there is no difference in content. In early morning verses, it can be seen that it originated from the Fayuan Zhulin(法苑珠林) through the Sibulü bing lun yao yongchao(四部律并論要用抄) related to Pyeongdange and the Mahāsaṅghika-vinaya(摩訶僧祇律). The sixth “Noon verses(日中偈)” has four terms: “oshige(午時偈)” “oshimusangge(午時無常偈)”, and “ilomusangge(日午無常偈),“ but the contents are the same. On the other hand, the compositional form of the li-chan-wen, where the six periods verses is established, is not the same. Like the 󰡔Wangsaeng Yechange󰡕, it is a basic form that a six periods verses is written at the end of the li-chan-wen of each periods(各時). However, in the of The Bodhisattva Mañjuśrī’s Ten Unbounded Mind Bows(文殊師利菩薩無相十禮), it was consecutively erected at the end of the li-chan-wen, In the li-chan-wen(禮懺文)(1), “dusk verses(黃昏偈)” and “the early of night verses(初夜偈)” appear in the middle of the li-chan-wen, and “early morning verses(平旦偈)” appears at the end. In addition, in the Yuán-júe-jīng-dào-cháng-xiū-zhèng-yí(圓覺道場修證廣懺文), all six poems are collected and recorded collectively in the sixth of the 「the law of ritual and confession eight branches(禮懺法八門)」

한국어

선도의『왕생예찬게』는 정토발원을 위한 육시예참문이다. 본 육시예참이 일몰시(日沒時)부터 시작되는 것은 아미타불의 불국토가 서쪽에 있기 때문이며, 『관무량수경』에 설해져 있는 16관법도 일몰을 관하는 ‘일상관(日想觀)’부터 시작하는 것이다. 『왕생예찬게』에 설해져 있는 육시게송을 중심으로 하여, 용어 및 내용을 관련 경전들에서 살펴보았다. 첫 번째 ‘일몰게’는 일몰무상게, 황혼게, 황혼무상게, 일모무상게 등의 4가지 용어로 칭해지고 있으며, 게송의 내용 또한 각기 다르다. 제4그룹인 ‘황혼무상게’에는『법구경』 또는 『출요경』을 출전으로 하는 두 가지 계통의 인용설이 있다. 두 번째 ‘초야게’는 ‘초야게’와 ‘초야무상게’가 있지만, 두 용어가 혼용으로 사용되어 내용에 따라 2그룹으로 구분된다. 세 번째 ‘중야게’는 ‘중야무상게’와 용어는 두 가지이지만, 내용으로는 4그룹으로 구분된다. 네 번째 ‘후야게’는 ‘후야무상게’와 두 가지 용어가 있지만, 내용은 동일하다. 다섯 번째 ‘평단게’는 ‘인조게’ ‘인조청정게’로 세 가지 용어로 나타나지만, 내용에는 차이가 없다. 특히 평단게와 관련한『법원주림』과『사부율병론요용초』을 통하여『마하승기율』에서 유래하였음을 알 수 있다. 여섯 번째 ‘일중게’는 ‘오시게’, ‘오시무상게’, ‘일오무상게’의 4가지 용어가 있지만, 내용은 동일하다. 한편, 육시게송이 설해져 있는 예참문들의 구성형식은 동일하지 않다. 󰡔왕생예찬게󰡕와 같이 각시(各時)의 예참문 끝부분에 해당하는 육시게송이 설해져 있는 것이 기본적인 형식이다. 하지만,『무상십례』에는 예참문 끝부분에 연속으로 설해져 있었으며,『예참문』(1)에서 ‘황혼게’와 ‘초야게’는 예참문의 중반에, ‘평단게’는 끝부분에 나타난다. 또한,『원각참문』에는 「예참법팔문」 가운데 여섯 번째인 ‘여잡사(餘雜事)’에 육시게송을 전부 모아서 일괄적으로 기록하고 있다.

목차

한글요약
Ⅰ. 들어가기
Ⅱ. 경전에 나타난 육시의 명칭
Ⅲ. 육시게송에 대한 고찰
Ⅳ. 나가기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복희(오인) Choi Bok-hee (Ven. O-in).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부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