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자녀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간 종단적 상호인과관계

원문정보

The Longitudinal Mutu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and Child’s Acculturative Stress in the Multicultural Family

유지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eck whether there is a longitudinal mutu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and mothers’ and child’s acculturative stress in the multicultural family, and to verify whether the presented relationship differ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poverty groups. To this end, parent response data and child response data from the 4th, 5th, and 6th cycles of the Multicultural Children and Youth Panel were combined and analyzed through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ARCL).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autoregressive coefficients of the mother's acculturative stress and the autoregressive coefficients of the child's acculturative stres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indicates that the initial level of acculturative stress remains stable over time. In other words, acculturative stress in the [t] period means predicting the level of acculturative stress in the [t+1] period.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Cross-lagged coefficient of the mother's acculturative stress and the Cross-lagged coefficient of the acculturative stress of the child'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means that the mother's acculturative stress during the [t] period predicts the acculturative stress of children during the [t+1], and the acculturative stress of children during the [t+1] period predicts the mother's acculturative stress during the [t+1] period. Based on this, suggestions were made on acculturative stres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한국어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자녀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간 종단적 상호인과관계가 나타나는지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 소년패널(MAPS) 1주기 4, 5, 6차의 부모 응답 자료와 자녀 응답 자료를 병합해 자기회 귀교차지연모델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문화적 응 스트레스 자기회귀계수와 자녀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자기회귀계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시간이 흘러도 초기값 수준이 안정적으로 유지됨을 뜻하는데, 구체적으로 어머니의 기준 시점 문화적응 스트 레스는 어머니의 이후 시점 문화적응 스트레스 수준을 예측하고, 자녀의 기준 시점 문 화적응 스트레스는 자녀의 이후 시점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예측함을 의미한다. 둘째,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교차지연계수와 자녀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교차지연계수 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준 시점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는 이후 시점 자녀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그리고 기준 시점 자녀의 문화적응 스트레 스는 이후 시점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예측함을 의미한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가정 문화적응 스트레스 수준을 낮추기 위한 제언을 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1. 문화적응 스트레스
2.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자녀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간의 종단적 영향 관계
Ⅲ. 연구 방법
1. 연구모형 및 연구 문제, 연구 가설
2. 분석자료
3. 주요 변수 정의 및 측정
4. 자료분석 방법
Ⅳ. 연구결과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주요 변수의 기술적 특성
3. 주요 변수 간의 상관성
4.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자녀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간의 종단적 상호인과관계 검증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유지애 Yu, Ji Ae. 서울시립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