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Impact of Social Support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South Korea : On the Mediating Effects of Ego-resilience and Academic Burnout
초록
영어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ocial support, ego-resilience, academic burnout,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in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South Korea, additionally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s of ego-resilience and academic burnou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 research utilized data from 400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enrolled at universities in Seoul, Korea. The findings indicated that social support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ego-resilience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but negatively correlated with academic burnout. Ego-resilience demonstrat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burnout. Conversely, academic burnout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Furthermore, social support, ego-resilience, and academic burnout exerted direct influences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Notably, both ego-resilience and academic burnout served as partial media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strategies to bolster the self-directed learning capacities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South Korea.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사회적 지지, 자아탄력성과 학업소진 및 자기 주도학습능력 간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고, 사회적 지지와 자기주도학습능력의 관계 에서 자아탄력성과 학업소진의 매개효과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소재한 대학에 재학 중인 중국인 유학생 400명을 최종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지지는 자아탄력성, 학업소진 및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데 반해, 학업소진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탄력성은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인데 반해, 학업소진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학업소진은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지, 자아탄력성 및 학업소진은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탄력성과 학업소진은 사회적 지지와 자기주도학습능력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재한 중국인 유학생들의 자기주도학습능력 향상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사회적 지지와 자기주도학습능력 간의 관계
2.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 및 자기주도학습능력 간의 관계
3. 자아탄력성과 학업소진 간의 관계
4. 사회적 지지와 학업소진 및 자기주도학습능력 간의 관계
5. 성별 및 유학 형태에 따른 사회적 지지, 자아탄력성, 학업소진 및 자기주도학습능력 차이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연구절차
4. 자료분석
Ⅳ. 연구결과
1. 성별 및 유학 형태에 따른 차이분석
2. 변인들 간 상호상관
3. 측정모형 검증
4. 연구모형 검증
5. 매개효과 검증
Ⅴ. 논의 및 제언
1. 성별 및 유학 형태 차이
2. 변인 간의 상관관계
3. 자아탄력성과 학업소진의 매개효과
4. 제한점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