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논문

고고학적 디지털 기록에 대한 단상(斷想) - indoor -

원문정보

Musing on Archaeological Digital Record - indoor -

이창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21st century has become the age of ‘Digital Transformation’. ‘Archaeological Record’ is also produced using various digital technology. This record was named ‘Archaeological Digital Record’. This paper mainly focused on archaeological digital records produced in indoor work. I focused on excavation report and database. Digital archeology has begun to establish itself as a field of archeology in South Korea as well. After understanding the current situation, I wanted to find out the problems and find a direction. Therefore, I avoided content that overlapped with existing digital archeology related papers and dealt with content close to qualitative evaluation and recommendation. Excavation report produced from archaeological digital record isn’t consumed effectively. The reason is that there is no standard for recording. We must calmly judge the achievements of the past 10 years and build an exemplary integrated archive including 3D data. In particular, because there are very few archaeologists who can use and produce 3D data, I concerns about a complete separation between producers and consumers. University education can buffer that separation, and raising awareness among university members is necessary. This must be followed by policy support and cooperation from national agencies, including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excavation and research institutes. The most common and important archaeological record used by archaeologist is drawing. Drawing using 3D scanning is produced with sufficiently good quality, and standardization is not a major problem. It is expected that it will spread rapidly and be commercialized in the future. In proportion to this, 3D data will accumulate even more, and if public storage is not established, it will be reduced to digital waste. 3D data does not stop at simply producing record, but has high utility value in various fields such as education, research, contents, and popularization. Therefore, it is desirable for a national agency to standardize excavation report and take responsibility for the direction of 3D data storage along with policy. The keywords ‘standard’, ‘policy’, ‘preservation’, and ‘management’ must always be assumed in the construction of an integrated archive of archaeological digital record, which will be realized in the near future. Through this, data that guarantees compatibility and universality must be continuously upgraded and managed to enable permanent preservation and operation.

한국어

21세기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의 시대에 접어들게 되면서 고고학 분야에도 고고학적 기록(Archaeological Record)이 다양한 디지털 기술로 생산되고 있다. 이러한 기록을 고고학적 디지털 기록(Archaeological Digital Record)로 명명하였다. 본고는 주로 실내작업에서 생산되는 고고학적 디지털 기록을 대상으로 하였는데, 발굴조사 보고서와 데이터베이스(DB)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한국에서도 디지털고고학이 고고학의 한 분야로 자리잡기 시작한 현 시점에서 현황을 파악하여, 문제점을 알아보고 지향점을 찾고자 하였다. 따라서 기존의 디지털고고학 관련 논문 중 이론, 국내외 사례, 기록 방법이나 소개, 과정에 대한 내용의 중복을 지양하고, 정성적 평가와 제언에 가까운 내용을 다루었다. 고고학적 디지털 기록으로 생산된 발굴조사보고서는 효과적으로 소비가 되지 못하는데, 그것은 기록의 비표준화에서 기인하는 지극히 단순한 문제이다. 최근 약 10년간의 공과(功過)를 냉정히 판단하여 3D 데이터까지 포함한 모범적인 통합 아카이브로 나아갈 필요가 있다. 특히, 3D 데이터의 이용과 생산이 가능한 고고학자는 극히 일부에 불과하여, 자칫 생산자와 소비자의 완연한 분리로 이어질까 우려되는 상황이다. 대학교육은 그 괴리의 완충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대학 구성원의 인식 제고를 통한 학제적 선제 대응이 요구된다. 여기에 문화재청을 비롯한 한국문화유산협회 등 국가 기관과 발굴조사기관, 연구소 등의 정책 지원과 공조가 뒤따라야 한다. 고고학자가 이용하는 가장 보편적이고 중요한 고고학적 기록이 도면이다. 3D 스캔을 이용한 도면 작성은 충분히 양호한 품질로 생산되며, 표준화시키는 데도 큰 문제가 없으므로 앞으로 급속히 확산되어 상용화될 전망이다. 이에 비례해서 3D 데이터는 더욱 쌓여만 갈 것인데, 공적 저장소가 마련되지 않는다면 디지털 쓰레기로 전락할 것이다. 3D 데이터는 단순히 기록의 생산에 그치지 않고, 교육·연구·콘텐츠·대중화 등 다방면으로 활용 가치가 높다. 따라서 표준화를 통한 발굴조사보고서의 재정비와 산적될 3D 데이터가 가야 할 방향타를 정책과 함께 국가 기관에서 조정·담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머지않아 실현될 고고학적 디지털 기록의 통합 아카이브(Archive) 구축에는 항상 ‘표준’, ‘정책’, ‘보존’, ‘관리’라는 키워드가 전제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호환성과 보편성이 담보된 데이터의 업그레이드가 지속되면서 항구적 보존·운용이 가능하도록 관리되어야 한다.

목차

국문초록
I. 머리말
II. 고고학 디지털 기록(Archaeological Digital Record)
1. 사진
2. 도면
3. 3D 데이터와 아카이브(Archive)
III. 디지털고고학과 대학교육
V.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창희 Lee, Chang-hee. 부산대학교 고고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