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삼한시대 弁・辰韓지역 출토 검파부 장식 변화에 관한 연구 - 금속제 검파부속구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Decoration Change of Sword Handle from Byeon・Jinhan Area excavated in the Samhan Period -Focusing on the metal sword handle accessory -

삼한시대 변・진한지역 출토 검파부 장식 변화에 관한 연구 - 금속제 검파부속구를 중심으로 -

채상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is a study that reveals the transition and cause of the sword handles found in various tombs in the Byeonhan and Jinhan areas. First, the year of the tomb to be studied was set by referring to the existing research. And then, the accessories of the sword handles appearing at each stage were classifi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accessories of the sword handles appeared in the order of the I stage, the core part / the head decoration, and the touch part / the edge of a sword in the II-1 stage, the sword handle / fixed part in the II-2 stage, and the integrated accessories of the sword handles / centre ornaments in the III stage. Furthermore, based on the properties of the sword handle, it is divided into I to IV stages, and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each type, there are 10 types of I, 3 types of II, 5 types of III, and 2 types of IV. As time passes, the decorative property is more prominent as a prestige item. The reason the swords were transformed into 'luxurious parts' is believed to be related to the emergence of influential individuals who accumulated wealth through trade with surrounding regions, such as the Han Dynasty or the Japan, based on the iron culture that flowed around a century before A.D. As a result of looking at the buried shape of the tomb of a powerful individual, it can be seen that they had a strong desire to show off their status and wealth through accumulated wealth. In the process, a large number of luxury goods and prestige goods would have been used. Thus, swords also would have gradually changed splendidly in the process.

한국어

본고는 변・진한의 영역인 영남지역에서 확인된 묘제 출토 금속제 검파부속구를 대상으로 한 연구로 금속제 검파부속구의 조합상을 통해 검파부 장식의 변화 과정과 그 요인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우선 기존의 연구를 참고하여 연구대상이 되는 묘제의 편년을 설정한 뒤, 단계별로 검파부속구의 출몰연대를 구분하였다. 그 결과, 검파부속구는 Ⅰ단계에 검파두식・심부, Ⅱ-1단계에 반부금구・촉금구, Ⅱ-2단계에 검파・경고정부, Ⅲ단계에 파부중앙금구와 각종 부속구가 일체화된 검파부 순으로 등장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손잡이가 되는 검파의 속성을 기준으로 크게 Ⅰ∼Ⅳ형식류로 구분되며 각 형식별로 조합상에 따라 세부적으로 Ⅰ형식은 10개, Ⅱ형식은 3개, Ⅲ형식은 5개, Ⅳ형식은 2개의 세부형식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새로운 형식이 나타남에 따라 검파부는 점차 화려해지며, 위세품으로서 장식성이 두드러지는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원인으로는 서기전 1세기를 전후하여 유입된 철기문화를 바탕으로 주변지역 및 漢 또는 倭와 교역을 통해 부를 축적한 유력개인의 등장과 관련이 깊은 것으로 추정된다. 유력개인묘의 부장양상을 보았을 때, 피장자는 축적한 부를 통하여 자신의 지위와 재력을 주변에 과시하고자 하는 욕구가 강했음을 알 수 있는데 그 과정에서 다량의 사치품과 위신재가 이용되었을 것이며, 검 또한 그 과정에서 점차로 다양한 금속제 검파부속구를 이용해서 장식되고 변화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다양한 형식으로 분화된 검파부는 Ⅲ단계에 그 다양성이 줄어들다 서기 2세기 중반 이후, 목곽묘가 등장하면서 검과 함께 자연스럽게 소멸하는 것으로 보이며, 그 기능적인 면은 대검과 대도 등의 무기에 대체된 것으로 생각된다. 이 전환기까지만 하더라도 대검이나 대도에는 이전의 검과 같이 화려하게 장식된 양상이 나타나지 않는데 이는 대검과 대도의 패용 그 자체가 그들의 신분 또는 지위를 나타내게 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회가 변화해 감에 따라 자신의 지위와 재력을 나타내는 기준 또한 변화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목차

국문초록
I. 머리말
II. 검파부의 특징과 연구대상 유적
1. 검파부의 세부명칭
2. 연구대상 유적 및 출토 현황
III. 검파부속구의 편년
1. 유구의 편년
2. 검파부속구의 출몰연대
IV. 검파부속구의 조합과 분포양상
1. 속성 및 형식분류
2. 단계별 분포양상
V. 검파부 장식의 변화 과정과 그 요인
1. 검파부 장식의 변화 과정
2. 검파부 장식의 변화 요인
VI.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채상훈 Chae, Sang-hun. 금강문화유산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