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대독일 수출입과 ESG가 상호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Effects among ESG Index, Export Volume and Import Volume between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and Korea

임병진, 기석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examines the mutual effects among ESG(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monthly data, the export volume from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to Korea, and the import volume from Korea to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The focus is on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factors and their potential impact on each other. This study used 158 monthly data from January 31, 2010 to February 28, 2023 for the study on the effects among the ESG monthly data, the Federal Republic export volume and import volume between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and Korea. A literature review was also conducted to supplement the empirical research method. The stability of the time series was determined using a unit root test on the monthly time series data of the ESG data, the Federal Republic export volume and import volume between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and Korea. The study also employed the variance decomposition method of prediction error using a VAR model of the monthly time series data of the ESG data, the Federal Republic export volume and import volume between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and Korea, impact response analysis of the ESG index in Korea, export volume and import volume between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and Korea for mutual influence analysis among variables. All the monthly time series data analyses of the ESG index in Korea, export volume and import volume between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and Korea were performed using Eviews version 7.0. The important results of the study on the ESG index in Korea, export volume and import volume between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and Korea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study yielded several important results. Firstly, stability tests for the level variables of the ESG index in Korea, export volume and import volume between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and Korea showed instability, whereas stability was observed for the difference variable data. Secondly, an analysis of the data reveal several noteworthy correlations. There exists a roust and positive correlation of 0.946829 between exports and imports to Germany, signifying a strong interdependence. Furthermore, imports to Germany exhibit a moderate positive correlation of 0.548320 with the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ESG) index, while exports to Germany share the same correlation value of 0.548320 with the ESG index, indicating a moderate positive connection as well. Overall,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SG index and both exports and imports to Germany is measured at 0.539716, representing a moderate positive correlation. Thirdly, the results of the Granger causality test demonstrate significant findings. Specifically, there is evidence of Granger causality between changes in the quantity of imports from and exports to Germany at a significance level of 1%. Furthermore, changes in the ESG index exhibit a Granger causality in relation to changes in exports to Germany at the 5% significance level. Fourthly, an examination of variance decomposition reveals insightful patterns. For exports to Germany, a substantial portion exceeding 87% is explained by inherent factors, emphasizing their self-explanatory nature in forecasting. Imports to Germany, on the other hand, demonstrate a self-explained portion of importance in forecasting of 17% or more. Notably, exports to Germany contribute to over 80% of the variance in imports, underscoring their significant explanatory role. Additionally, the ESG index contributes more than 3% to the variance in exports to Germany. In the context of imports to Germany, the ESG index explains merely 1% of the variance, with the majority of explanatory power originating from exports to Germany. In the variance decomposition of the ESG index, over 96% of its predictive power is self-explained, while exports and imports to Germany contribute more than 2% and 1%, respectively. An acknowledged limitation in empirical studies concerning the reciprocal influence of ESG on exports and imports to Germany is the paucity of accurate, diverse, and comprehensive ESG-related data, apart from the ESG index. Should more accurate and diverse ESG data become available, it is deemed advisable to pursue meticulous research endeavors in the future.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ESG 지수가 발표되기 시작한 2010년 1월 31일부터 2023년 2월 28일까지 158개의 월간 시계열 자료를 사용하여 ESG 지수와 대독일 수입액 및 수출액에 상호 미치는 영향력을 비교 분석하는 실증적인 연구를 하였다. 문헌적인 연구방법으로 ESG 지수와 대독일 수입액 및 수출액 에 관한 기존의 연구를 검토하였고, 실증적인 연구방법으로 연구에 사용할 ESG 지수와 대독일 수입액 및 수출액 월간 시계열 자료의 안정성 여부의 판정을 위한 ESG 지수와 대독일 수입액 및 수출액의 단 위근 검정, ESG 지수와 대독일 수입액 및 수출액 변수 간의 상호 영향력 분석을 위한 ESG 지수와 대 독일 수입액 및 수출액의 VAR 모형을 이용한 예측오차의 분산분해기법과 ESG 지수와 대독일 수입액 및 수출액의 충격반응 분석 및 ESG 지수와 대독일 수입액 및 수출액의 Granger Causality 검정으로 실 증적인 분석을 하였다. ESG 지수와 대독일 수입액 및 수출액 월간 시계열 자료의 모든 분석은 Eviews version 7.0을 통해 수행하였다. ESG 지수와 대독일 수입액 및 수출액에 관한 연구의 중요한 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ESG 지수와 대독일 수입액 및 수출액 월간 시계열 자료의 수준변수에 대한 안정성검정 결과, 1% 유의수준에서 ADF 방법에 의한 검정은 모두 불안정적으로 나타났고, PP 방법에 의한 검정에서는 대독일 수입액과 ESG만 불안정적으로 나타났다. 둘째, ESG 지수와 독일 수입액 및 수출액 월간 시계열 자료의 제1차 차분 자료에 안정성검정 결과는 1% 유의수준에서 모두 안정적으로 나타나 제1차 차분 자료를 연구에 사용해도 무방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독일 수출액과 수입액 간의 상관관계는 0.946829로 강한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고, 대독일 수입액과 ESG 지수 간의 상관관계는 0.548320으로 중간 정도의 양의 상관관계이고, 대독일 수출액과 ESG 지수 간의 상관관계는 0.539716으로 중간 정도의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넷째, Granger 인과관계 검정 결과, 1% 유의수준에서 대독일 수입액 및 수출액 변화에 각각 Granger causality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5% 유의수준에서 ESG 지수 변화는 대독일 수출액 변화에 Granger causality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대독일 수출액 분산분해에서 대독일 수출액의 예측에 자체적으로 설명되는 중요도의 부분이 87% 이상이고 대독일 수입액에 의해 설명되는 부분이 8% 이상으로 나타났고, ESG 지수에 의해 설명 되는 부분이 3% 이상으로 나타났다. 대독일 수입액 분산분해에서 대독일 수입액의 예측에 자체적으로 설명되는 중요도의 부분이 17% 이상이고 대독일 수출액에 의해 설명되는 부분이 80% 이상으로 나타 났고, ESG 지수에 의해 설명되는 부분이 1% 이상으로 나타났다. ESG 지수 분산분해에서 ESG 지수의 예측에 자체적으로 설명되는 중요도의 부분이 96% 이상이고 대독일 수출액에 의해 설명되는 부분이 2% 이상으로 나타났고, 대독일 수입액에 의해 설명되는 부분이 1% 이상으로 나타났다. ESG가 대독일 수출과 수입에 상호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ESG 지수 외에 ESG에 관한 정확하고 다양하고 충분한 데이터가 없다는 것이다. ESG에 관한 정확하고 다양한 자료가 제공된다면 향후에 세밀한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국문 요약
Ⅰ. 서론
Ⅱ. 문헌 연구
Ⅲ. 연구자료 및 연구모형
3.1 연구자료
3.2 연구모형
Ⅳ. 실증연구 결과분석
4.1 기초통계 분석 및 상관관계분석
4.2 단위근 및 공적분 검정결과분석
4.3 VAR 모형을 이용한 결과분석
4.4 Granger 인과관계 결과분석
Ⅴ.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임병진 Byung-Jin Yim. 영남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 기석도 Seuk-Do Kie. 영남대학교 무역학부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