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불안의 관계 : 정서표현 양가성과 자기은폐의 이중매개효과

원문정보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ocial anxiety : The double mediating effects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elf-concealment

임미정, 정지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double mediating effect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elf-conceal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ocial anxiety. For this purpose, an online self-report survey was conducted on 240 adult men and women in their 20s and 30s. Of these, the data of 236 people, excluding 4 cases in which they responded insincerely,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The measurement tools were the Covert Narcissism Scale(CN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Questionnaire(AEQ-K), Self Concealment Scale(SCS), Social Interaction Anxiety Scale(SIAS), Social Phobia Scale(SP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and SPSS PROCESS macro 4.0 programs. Prior to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question, descriptive statistics were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preliminary analysis to check the mean, standard deviation, skewness, and kurtosis of each variable,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variables were confirmed through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In addition, the PROCESS macro model No. 6 was us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ambivalence and self-conceal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ocial anxiety,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through bootstrapp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ediating effect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ocial anxiety was not significant.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nceal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ocial anxiety was significant. Third, the sequential double mediating effect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elf-concealment was confi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in people with covert narcissistic tendencies increases social anxiety through self-conceal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order to reduce social anxiety in people with covert narcissistic tendencies, it may be more effective not only to empathize with and accept the difficulties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but also to intervene to reduce the level of self-concealment, which is a maladaptive coping style.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한국어

본 연구는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정서표현 양가성과 자기은폐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30대 성인 남녀 24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4건을 제외한 236명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측정도구는 내현적 자기애 척도(CNS), 정서표현 양가성 척도(AEQ-K), 자기은폐 척도(SCS),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척도(SIAS), 사회공포증 척도(SPS)이다. SPSS와 SPSS PROCESS macro 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문제 분석에 앞서 예비분석의 목적으로 기술통계를 실시하여 각 변인들의 평균, 표준편차, 왜도, 첨도를 확인하고, 피어슨(Pearson) 상관분석을 통해 변인 간 상관계수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정서표현 양가성과 자기은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PROCESS macro 6번 모형을 사용하였으며, 부트스트래핑을 통해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은폐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 셋째,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정서표현 양가성과 자기은폐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내현적 자기애가 높은 사람들의 정서표현 양가성은 자기은폐를 통해 사회불안을 증가시킴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내현적 자기애 성향을 지닌 이들의 사회불안을 낮추기 위해서는 정서표현 양가성의 어려움을 공감하고 수용할 뿐 아니라, 무엇보다 부적응적 대처양식인 자기은폐 수준을 낮출 수 있는 개입을 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을 논의하였고,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임미정 Lim Mijeong.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상담심리학 석사 졸업생.
  • 정지현 Jung Jihyun.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상담심리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