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초대교회와 한국선교 초기 역병과 디아코니아 실천이 주는 선교적 함의

원문정보

Epidemics of the Early Church and Korean Church and The Missionary Implications of Practicing Diakonia

변창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examines the impact of Diakonia ministry on the spread of the gospel during the early church and early Korean church when infectious diseases were widespread. Then the impact of the diakonic practice of the early and Korean church will be evaluated and missionary implications for today's church and mission will be examined. When contagious diseases were rampant, early church deacons, elders, and missionaries in Korea practiced sacrificial love even at the risk of death. Instead of running away, they voluntarily approached the patients, gave them food, and helped them heal and recover. Even in the early church and early history of Korean Protestantism, the spread of the gospel could be more easily accomplished by practicing diakonia (service) ministry. Just as diakonia and the proclaimed gospel (kerygma) were connected to the powerful missionary fruits of the early church and the early Korean church, the church needs more diakonic service and the sharing of God’s love. Diakonia, along with kerygma, is an essential mission that the church must fulfill. Evangelism and practicing diakonia are essential missions of the church that cannot be separated. Evangelism is not something that can only be accomplished through words; it must be demonstrated concretely through agape love and practice. In order for the church's proclamation of the gospel (kerygma) not to end in empty words, the authenticity of the gospel must be shown to the world through service (diakonia). Large-scale plagues played a major role in the growth and spread of Christianity. We must remember that in church history, there were many ‘parabolanoi’ or those who even risked death while performing self-sacrificing service.

한국어

본 논문은 전염병이 만연했던 2-3세기 초대교회와 초기 한국교회 선교시기에 디아코니아 사역이 복음 전파에 끼친 영향을 살펴본다. 또한 초 대교회와 한국교회의 봉사적 실천이 복음전파에 끼친 영향을 평가하고, 오늘의 교회에 주는 선교적 함의를 고찰한다. 전염병이 창궐하던 시절 초대 교회 집사, 장로 그리고 한국교회 초기 (의료) 선교사들은 죽음을 무릅쓰고 희생적인 사랑을 실천했다. 이들은 역병을 피하여 도망하지 않고 병자들에 게 자발적으로 다가가 음식을 주며 치유와 회복을 도왔다. 초대교회와 한 국 개신교의 초기 역사에서도 디아코니아(봉사) 사역을 실천함으로써 복음 전파는 보다 쉽게 이루어질 수 있었다. 디아코니아와 선포된 복음(케리그마)이 초대교회와 초기 한국교회에서 선교적 열매로 잘 이어졌듯이, 교회는 더 많은 섬김과 나눔과 봉사를 필요 로 한다. 디아코니아는 케리그마와 함께 수행해야 할 교회의 본질적 사명이다. 복음전파는 말로만 하는 것이 아니라, 아가페 사랑과 실천을 통해 구체적으로 나타나야 한다. 교회의 복음 선포(케리그마)가 공허한 메아리로 그치지 않으려면 섬김(디아코니아)을 통해 복음의 진정성이 세상에 보여져 야 한다. 결과적으로 대규모 전염병은 기독교의 성장과 확산에 중요한 역 할을 했다. 교회역사에서 죽음을 무릅쓰고 희생적인 봉사를 펼치다가 죽은 수많은 ‘파라볼라노이’가 있었음을 기억해야 한다

목차

논문 초록
I. 들어가는 말
II. 초대교회와 디아코니아
III. 초기 한국교회와 디아코니아
IV. 초대교회(2-3세기)와 구한말(1895-1910) 역병 창궐과 디아코니아 사역 비교
V. 맺는 말: 복음전도와 디아코니아
참고 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변창욱 Chang Uk Byun. 장로회신학대학교 교수, 선교신학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