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지리산국립공원 구상나무의 수직적 분포 현황

원문정보

Vertical Distribution of Abies Koreana Trees in Jirisan National Park

전영문, 박은희, 이창수, 조숙경, 신명화, 최영래, 윤주옥, 김명니, 채현진, 조성봉, 정명희, 우애라, 박영희, 신강, 김희경, 정원옥, 명현호, 박홍철, 윤주웅, 김진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raw data for predicting, preserving, and managing distribution changes due to climate change in the future by investigating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Abies Koreana in Jirisan National Park. A. Koreana are a major tree species that make up subalpine vegetation in republic of Korea and are particularly sensitive to climate change, so vertical distribution changes can serve as an indicator for these changes. To this end, the vertical distribution status of A. Koreana in major trails in Jirisan National Park was investigated in 2014 and 2021, and the distribution change according to the time series was confirmed. As a result, A. Koreana trees showed a lower distribution limit in the range of 800-890m in the northern part of the main ridge in the valley and 900-1080m in the southern part. In the ridge, the distribution lower limit was shown in the range of 1,220-1,420m in the northern area of the main ridge and 1,030-1,200m in the southern area. This vertical distribution difference was seen as a result of microclimate effects caused by the location environment between the northern and southern regions, starting from the valley, ridge, and main ridge. The vertical distribution change according to the time series has not yet appeared, and generally, A. Koreana trees located on the trail showed a healthy state. Through this study,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A. Koreana trees in Jirisan National Park was identified, and it is believed that future changes in subalpine conifers due to climate change should be recorded and conservation plans should be prepared.

한국어

본 연구는 지리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구상나무의 수직적 분포 현황을 조사함으로써 향후 기후변화 등에 따른 분포 변화 예측, 보전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구상나무는 한국의 아고산대 식생을 이루는 주요한 수종으로 기후변화에 있어 특히 민 감하며, 수직적 분포 변화는 이 같은 변화에 있어 지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2014년과 2021년에 지리산국립공원 주요 탐방로 내 구상나무의 수직적 분포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시계열에 따른 분포 변화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지리산 구상나무는 계곡부의 경우 주능선 북쪽 지역에서는 800~890 m, 남쪽지역에서는 900~1,080 m 범위에서 분포 하한선을 보였다. 능선부에서는 주능선 북쪽지역에서 1,220~1,420 m, 남쪽지역에서 1,030~1,200 m 범위에서 분포 하한선을 보였다. 이와 같은 수직적 분포 차이는 계곡부와 능선부, 주능선부를 기점으로 북쪽지역과 남쪽지역 간 입지환경에 따른 미기후 영향에 기인한 결과로 보여진다. 시계열에 따른 수직 분포 변화는 아직 나타나지 않았으며, 대체적으로 탐방로 상에 입지한 구상나무는 건전한 상태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지리산국립공원 내 구상나무의 수직적 분포 현황을 파악 할 수 있었고, 향후 지속적인 변화 관찰을 통해 기후변화 등으로 인한 아고산대 상록침엽수의 변화 양상을 기록하고 보전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요약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연구 대상지
조사방법
결과
지리산 구상나무의 과거 분포 현황
지리산 구상나무의 수직 분포 현황
지리산 주요 탐방로 상 구상나무의 생육 상태
고찰
참고문헌

저자정보

  • 전영문 Youngmoon Chun. 송광생태연구소
  • 박은희 Eunhui Park. 국립공원공단 동부지역본부
  • 이창수 Changsu Lee. 지리산 시민과학자
  • 조숙경 Sukgyeong Jo. 지리산 시민과학자
  • 신명화 Myeonghwa Sin. 지리산 시민과학자
  • 최영래 Yeongrae Choe. 지리산 시민과학자
  • 윤주옥 Juok Yoon. 지리산 시민과학자
  • 김명니 Myeongni Kim. 지리산 시민과학자
  • 채현진 Hyeonjin Chae. 지리산 시민과학자
  • 조성봉 Seongbong Jo. 지리산 시민과학자
  • 정명희 Myeonghui Jeong. 지리산 시민과학자
  • 우애라 Aera Woo. 지리산 시민과학자
  • 박영희 Yeonghui Park. 지리산 시민과학자
  • 신강 Gang Sin. 지리산 시민과학자
  • 김희경 Huigyeong Kim. 지리산 시민과학자
  • 정원옥 Wonok Jeong. 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연구원
  • 명현호 Hyeon-ho Myeong. 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연구원
  • 박홍철 Hong-chul Park. 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연구원
  • 윤주웅 Ju-ung Yun. 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연구원
  • 김진원 Jin-won Kim. 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