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돌[바위]의 문화적 상징과 활용방안 고찰 - 강릉 주문진 지역의 돌[바위]에 얽힌 이야기와 유래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Cultural Symbols and Utilization of Rocks - Focusing on the story and origin of the rock in Jumunjin, Gangneung -

이학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s the symbolic system and utilization of stone or rock culture enjoyed in Jumunjin. The people of Jumunjin have used the symbolic system of stone for a long time, made and enjoyed stories. The evidence remains as the place names centered on the stone, the origin of the place names, or the folktales. And we have also known and proceede d with how to use this as a modern concept to commercialize it. The resu lt has been linked to the cow(牛), stone, and Sodol in Sodol Village, lead ing to the stone lighthouse of the corresponding Haedanghwa-seonangdan g[해당화서낭당], Chilseong Rock, Son Rock, Sabulryeong Rock, and Sins eon Rock. This is a very desirable phenomenon. However, except for Sonbawi[아들바위], they were not good at using this actively to monetize products. Accordingly, I revealed that it is neces sary to use it progressively according to the marketing dimension of the new mind map. In other words, the first is the aspect of place marketing, the second is the aspect of local image marketing, the third is the aspect of emotional stimulation image marketing, and the fourth is the dimensio n of healing marketing such as religion according to the source of the stone. If you have a better idea here, you can keep putting it on. If you use the stone culture of Jumunjin in this way, Jumunjin will create another tourism product, and the lives of the people who ordered will be better in terms of spirit and economy.

한국어

이 글은 주문진에서 향유되고 있는 돌 또는 바위문화의 상징체계와 그 활용 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주문진 사람들은 돌에 대해서 아주 오래전부터 상징체계 를 활용해 왔고, 이야기를 만들어서 누려왔다. 그 증거가 돌을 중심으로 한 지명과 지명유래, 또는 설화로 남아 있다. 그리고 이를 현대적 개념으로 활용하 여 상품화하는 방법도 알고 진행해 왔다. 그 결과가 소돌마을의 소(牛)와 돌, 그리고 소돌과 연계하여 해당화서낭당의 돌 동대와 칠성바위, 아들바위, 사불 령, 신선바위 등등으로 이어져 왔다 그러나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상품을 수익화하는 데는 아들바위를 제외 하고는 서툴렀다. 이에 필자는 신마인드맵의 마케팅 차원에 따라 발전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음을 밝혔다. 곧 첫째는 장소마케팅의 측면이고, 둘째는 지역 이미지 마케팅 측면이고, 셋째는 감성 자극 이미지 마케팅의 측면이고, 넷째는 돌의 근원에 따른 종교 등 치유마케팅 차원이다. 여기다 더 좋은 생각이 있으면, 계속 붙여도 좋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주문진의 돌 문화를 활용한다면 주문진 은 또 다른 관광상품이 탄생할 것이고, 주문진 사람들의 생활도 정신적인 면과 경제적인 면에서 더 나아질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주문진 지역의 돌[바위]에 얽힌 이야기와 문화상징
Ⅲ. 주문진 지역의 돌[바위]에 얽힌 문화상징의 활용방안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학주 Lee Hak-ju. 강원대학교 춘천교양교육센터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