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特輯論文 : 백용성 대종사 ‘大覺禪’의 종합적 고찰 -

1920년대 후반 포교승 김태흡의 서양철학사조 수용 양상

원문정보

Kim Tae-heup's Assimilation of Western Philosophical Trends in the Late 1920s

김영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e late period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Kim Tae-heup, a missionary monk, primarily operated. He studied in Japan for an extended period in the 1920s, where he learned Buddhism as one of the universal religions. Upon his return to Korea in the late 1920s, he promoted Buddhism through various means, including lectures, newspapers, and radio broadcasts. During the process of promoting Buddhism, he reinterpreted Buddhism and, in the course of reinterpretation, infused modern universal concepts into Buddhism. Particularly in the late 1920s, he actively introduced Western philosophical and social trends, comparing them to Buddhism to discover universal values and concepts within Buddhism. He evaluated individual philosophical themes and social doctrines from a Buddhist perspective, including Western philosophers like Kant, Schopenhauer, Nietzsche, as well as epistemological and ontological debates, individualism, and utilitarianism. Kim Tae-heup introduced the concepts of “free will” and “good will” from Kant’s ethics, associating them with the expression “Zijingqiyi (自 淨其意)” found in the “Qifotongjieji (七佛通戒偈, The Verse of the Common Teaching of the Seven Ancient Buddhas).” He aimed to cultivate the modern individual as an “ethical subject” in line with Buddhist principles. Furthermore, he introduced Schopenhauer’s philosophy, emphasizing its resemblance to Buddhism, and argued that the Great Vehicle Buddhism was actually the “salvation teaching” while highlighting the “esoteric” nature of Buddhism. Kim Tae-heup discussed epistemology and ontology, revealing his own social perspectives. Notably, he criticized materialism for leading to greed, and idealism for leading to nihilism. He argued that Buddhism was neither materialism nor idealism, emphasizing that the Buddhist concept of “Zhenru (眞如, tathātā)” transcended materialistic substantialism and overcame idealistic nihilism.

한국어

김태흡(金泰洽)은 일제강점기 주로 포교승으로 활동했다. 그는 1920년대 장기간 일본에서 유학했고, 그곳에서 보편 종교로서 불교를 학습했다. 1920 년대 후반 귀국 후 강연뿐만 아니라 신문과 라디오 방송과 같은 매체로 불교 를 선전했다. 김태흡은 불교를 선전하는 과정에서 불교를 재해석하였고, 불 교에 근대적 보편 가치를 부여했다. 특히 그는 1920년대 후반 적극적으로 서양의 철학 사조나 사회 사조를 소개하면서 그것을 불교와 비교하는 방식 으로 불교에서 보편 가치나 보편 관념을 찾아냈다. 그는 칸트, 쇼펜하우어, 니체 등 서양 철학자뿐만 아니라 유물·유심 논쟁 등 철학의 개별 주제와 개 인주의, 공리주의 등 사회 사조를 불교의 시선에서 평가했다. 김태흡은 칸트윤리학의 ‘자유의지’와 ‘선의지’ 개념을 소개하면서, 여기에 상당하는 개념으로 ‘칠불통계게(七佛通戒偈)’에 등장하는 ‘자정기의(自淨其 意)’란 표현을 거론했다. 그는 ‘윤리 주체’로서 근대적 개인을 불교의 원리로 양성하고자 한다. 또한 그는 당시 불교와 유사성이 강조된 쇼펜하우어 철학 을 염세주의로 소개하고, 대승불교는 오히려 구세론임을 주장하여 불교의 ‘입세’ 성격을 강조했다. 김태흡은 유물론과 유심론을 거론하면서 자신의 사 회관을 직접 드러했다. 그는 유물·유심 논쟁을 세계의 근원이 물질이냐 정 신이냐 하는 차원으로 다루지 않는다. 그는 유물론은 배금주의를 초래하였다 고 비판하고, 유심론은 허무주의를 초래했다고 비판했다. 김태흡은 불교는 유심론도 아니고 유물론도 아니라고 주장하고, 특히 불교의 진여(眞如, tathātā)가 유물론적 실체론을 타파하고, 유심론적 허무주의를 극복하는 개 념임을 강조했다.

목차

한글요약
Ⅰ. 머리말
Ⅱ. 칸트윤리학의 자유의지와 불교실천도덕의 원리
Ⅲ. 쇼펜하우어 염세주의와 대승 구세론
Ⅳ. 유물·유심론과 불교의 물심불이론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영진 Kim, Young-jin. 동국대학교 WISE캠퍼스 불교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