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特輯論文 : 백용성 대종사 ‘大覺禪’의 종합적 고찰 -

백용성 스님의 大覺禪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f Baek Yongseong's Teachings about Great Enlightenment Meditation (大覺禪)

백용성 스님의 대각선 연구

한태식(보광)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life of Venerable Baek Yongseong is defined by his unwavering pursuit of Great Enlightenment(大覺). After renouncing secular life, he dedicated himself to endless repentance, hwadu concentration, and scripture reading to attain Great Enlightenment. Following his enlightenment, he devoted his life to practicing the Dharma and founded the Movement of the Religion of Great Enlightenment, driven by his passion for Great Enlightenment Meditation. First, what is Yongseong’s view of the Great Enlightenment? The meaning of Great Enlightenment in the Buddhist scriptures means Buddha; on the other hand, it symbolizes Buddha's enlightenment. He construed the concept of Great Enlightenment as the realization and culmination of innate enlightenment(始覺), primal enlightenment(本覺), and ultimate enlightenment (究竟覺). This interpretation led Yongseong to define Great Enlightenment Seon as Seon(禪), emphasizing the amalgamation of personal enlightenment, self-realization, and the practice devoted to guiding others toward similar levels of enlightenment. Second, what led to the establishment of Yongseong’s philosophy of Great Enlightenment Seon? The four stages of enlightenment achieved through mountain meditation were the basis. His proactive approach aimed to impart teachings not only to Buddhists but also to non-Buddhists and followers of different faiths. Interactions with various religious representatives in Gyeongseong's churches and cathedrals reinforced his commitment to advancing Buddhism through meditation and propagation. This marked the initial phase of establishing the ideology of Great Enlightenment Seon. His involvement in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led him to reside in Seodaemun Prison alongside 33 representatives from diverse religions, enabling him to study their religious practices and missionary methods. This period marks the establishment of the second phase of Great Enlightenment Seon thought, evolving notably due to his experiences in prison. Third, he emphasized the practice of Great Enlightenment Seon. By popularizing the Great Enlightenment Seon, he sought to socialize enlightenment. Also, he emphasize the popularization of seon practice propagation. The topic of Great Enlightenment Seon was the project to enlighten the people. Lastly, he founded the Religion of Great Enlightenment Movement. He created a community called the Religion of Great Enlightenment to practice Great Enlightenment Seon. To summarize, his legacy as a great guardian of Great Enlightenment lies in his establishment of the Great Enlightenment thought, development of the Great Enlightenment Movement, and the organization of the Religion of Great Enlightenment. His unique meditation practice and propagation teachings were the foundation of this movement, with the ultimate goal being the socialization of enlightenment. Daegak-sa temples were erected in numerous locations to support the Project of the People's Great Enlightenment.

한국어

용성 스님(1864~1940)의 일생을 한마디로 말한다면, 대각(大覺)이라고 표 현할 수 있다. 그는 출가 후 대각을 위하여 끊임없는 참회와 화두참구 및 경전의 열람 등을 하였다. 깨달음을 얻은 후 그 법을 실천하기 위해 일생 동안 노력한 것이 대각교운동이다. 이러한 열정이 나올 수 있었던 원인을 대각선(大覺禪)에서 찾을 수 있다. 첫째, 용성 스님의 대각관은 어떠한 것인가. 경론상의 대각의 의미는 부 처님을 뜻하기도 하며, 한편 부처님의 깨달음을 상징하기도 한다. 그러면 용성 스님의 대각관은 무엇일까. 시각, 본각, 구경각을 성취한 것을 대각이 라 하고, 이는 자신의 깨달음인 자각(自覺)과 그 깨달음을 사회화하여 다른 사람도 깨닫게 하는 각타(覺他)를 구족하는 선(禪)을 대각선(大覺禪)이라고 하였다. 둘째, 용성 스님의 대각선 사상이 정립하게 된 계기는 무엇일까. 먼저 산 중수행에서 4차에 걸친 깨달음을 성취한 것이 기본이 된다. 용성 스님은 불자 뿐만 아니라 비불자 심지어 타종교인들에게까지도 전법도생하는 방 법을 강구하는 적극성이 있다. 그 1차 계기는 1911년 경성에 입성하여 교 회와 성당을 둘러보고, 그들의 외형적인 모습과 적극적인 포교방법에 감탄 하고 위기의식을 느끼게 되었다. 이때를 1차 대각선 사상 정립기로 볼 수 있다. 2차 계기는 1919년 3·1독립운동 민족대표 33인으로 서대문 감옥에 서 타종교인들과 한방에서 생활하면서 그들의 신앙생활과 포교방법을 보 고 불교의 나아갈 길을 모색하게 되었다. 만약 용성 스님께서 서대문 감옥 생활이 없었다고 한다면, 출옥 후 많은 변화는 없었을 것이다. 이때가 2차 대각선 사상 정립기라고 볼 수 있다. 셋째는 대각선의 실천이다. 대각선을 대중화, 민중화, 사회화하는 깨달음 의 사회화라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참선포교의 대중화이다. 대각선은 누 구나 깨닫게 하는 선이다. 그의 포교방법은 참선으로 포교하는 것이었다. 대각선의 화두는 민중대각화사업이었으며, 마지막으로 대각교운동이다. 대 각선을 실천하기 위하여 대각교라는 공동체를 만들었다. 각 처에 대각교당 을 세우고, 그 목적을 민중대각화사업(民衆大覺化事業)에 두었다. 따라서 용성 스님은 대각을 성취한 대각인(大覺人)으로 대각사상을 정립하고, 대각운동을 전개하였으며, 이를 조직화 한 것이 대각교운동이다. 기본 바탕은 대각선이라는 독특한 선수행과 선포교방법인데 그 목적은 깨달음의 사회화인 민중대각화사업이라고 할 수 있다.

목차

한글요약
Ⅰ. 머리말
Ⅱ. 백용성 스님의 大覺觀
1. 경론상의 大覺觀
2. 백용성 스님의 大覺觀
Ⅲ. 大覺禪 사상의 정립
1. 산중수행에서 大覺證得
2. 1차 大覺禪 사상 정립기-京城에서 깨달음
3. 2차 大覺禪 사상 정립기 - 서대문 獄中에서 깨달음
Ⅳ. 大覺禪의 실천
1. 민족독립운동
2. 참선포교의 대중화
3. 大覺敎 운동 전개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한태식(보광) Han, Tae-sik(Ven. Bo-kwang). 대각사상연구원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