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민세 안재홍의 단군 이해와 홍익인간론

원문정보

Minse An Jae-hong's Understanding of Dangun and Hongikingan

성호준

우계문화재단 우계학보 제45호 2023.12 pp.159-182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is an analysis of An Jae-hong's understanding of Dangun(檀君) and discussions on Hongikingan(弘益人間). He connects the meaning of femininity, which gives birth to life, to Asadal. Asa(阿斯) means ‘Assi’, and Dal(達) is the origin of the words moon, mountain, and field, and means the world ruled by ‘Assi’. Here, the moon can be understood to mean a woman. It seems that the word ‘Assi’ is judged to mean the head of a matriarchal society. Asadal refers to the land ruled by 'Assi', meaning the society before Dangun, and refers to a matriarchal society, and Assi was also called the Holy Mother Great King. And Asadal's society was said to be a transitional period from the end of ancient history to Dangun. It is said that Asadal's society was an ancient period in which life centered on hunting and fishing, and that Dangun's founding of the nation occurred as it developed into an agricultural society. However, rather than denying ‘Asadal’ and establishing a completely new system, it was understood that it was done by inheriting the spirit of the previous Asadal. It can be said that the birth of Dangun, who established his capital in Asadal, was the union of the divine world of heaven and the maternal world of reality. He derived the ideology of the perpetuity of life and recognized it as the truth of heaven and human harmony. This was called Hongikingan's intention and desire. It is a way to explain the great virtue of never ending life through the union of Asadal's earth and motherhood, or yin, with the heaven, god, and yang, which are the sources of Dangun. This will not be much different from Iching's view of life. The meaning of Hongikingan in the Dangun myth and Jaeselihwa(在世理化) was explained in relation to Jeophwagunsaeng(接化群生) of Pungryu(風流). This is based on the idea that the ideological orientation and content of the Dangun myth do not exist separately from ‘Hyeonmyojido(玄妙之道)’ and ‘Pungryu’. It was judged that it would be appropriate to understand the Hongikingan of the Dangun myth and the ‘Jeophwagunsaeng’ of Pungryudo from one level rather than two. It means that without the spirit of 'Jeophwagunsaeng', Hongikingan's aspirations cannot be achieved. And if 'Jeophwagunsaeng' is related to all things, Hongikingan has the characteristic of interpreting it as a wish for an people's livelihood society. The ancient Shindo(神道) ideology was called the great path of spiritual creation, and it was explained in relation to numbers. In other words, he takes the form of explaining “Buru” or Shindo ideology’s view of life and the universe in relation to number. It is called 'One Heaven – Two Earths – Three Seed – Four Life – Five Providences – Six Continuous – Seven Work'. Among these, the ideology of 'One Heaven-Two Earths-Three Seed' is in line with the thought of heaven, earth and human beings, and its connection with the Iching and the Daodejing was also explain. An Jae-hong's academic recognition of Dangun and Hongikingan was achieved within the basic framework of East Asian thought. Discussions such as the idea of heaven, earth and man, harmony of yin and yang, and correspondence between heaven and man are intact. He said that Shindo is a unique Korean ideology. However, it can be partially interpreted in relation to Iching and Taoism. However, although trying to explain unique ideological traditions through ancient languages, it is not easy to find a logical basis.

한국어

이 논문은 안재홍(安在鴻, 1891~1965)의 단군(檀君) 이해와 홍익인간론(弘益人間論)에 대한 논의를 분석한 내용이다. 안재홍은 생명을 낳은 여성성의 의미를 아사달로 연관 짓고 있다. 아사(阿斯)는 ‘아씨’, 달(達)은 달, 산악, 들의 어원으로 아씨가 다스리는 세상을 뜻한다. 여기서 달은 여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아씨’라는 말을 모계 중심 사회의 우두머리로 판단하고 있는 듯하다. 아사달은 아씨가 지배하는 땅을 뜻하는 것으로 단군 이전 사회를 뜻하며 모계(母系) 중심의 사회를 의미하는 것으로 아씨를 성모대왕(聖母大王)이라 칭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아사달 사회는 태고사의 끝으로 단군에게 이어지는 과도기라 하였다. 아사달의 사회가 수렵과 어로를 중심으로 생활하던 태고시대라고 하면 농경 사회로 발전하면서 단군의 건국이 이루어졌다고 한다. 그런데 ‘아사달’이라고 하는 옛 터전을 부정하며 완전한 새로운 체제를 구축한 것이 아니라 이전 아사달의 정신을 계승하면서 이루어진 것으로 이해하였다. 아사달에 도읍하여 건국한 단군의 탄생은 하늘의 신계와 현실의 모계의 결합으로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안재홍은 자생⋅생존⋅생취의 이념을 도출하고 이를 천인화합의 큰 도(道)로 인식하여 곧 홍익인간의 의도와 염원이라 하였다. 아사달의 땅과 모성 곧 음이 단군의 근원인 하늘, 신, 양과의 결합을 통하여 생생불이(生生不已)의 큰 덕을 설명하는 방식으로 역학(易學)의 생명관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 단군신화의 홍익인간(弘益人間) 재세이화(在世理化)의 뜻을 풍류(風流)의 접화군생(接化群生)과 연관을 지어 설명하는데, 곧 이는 단군신화의 사상적 지향과 내용이 곧 ‘나라의 현묘한 도’ ‘풍류’와 따로따로 존재하는 것은 아니라는데 착안한 것이다. 홍익인간의 이상과 접화군상의 가치는 결국 표리와 본말관계라 말하고 있다. 곧 단군신화의 홍익인간과 풍류도의 ‘접화군생’은 둘이 아닌 하나의 차원에서 이해하는 것이 적절하리라 판단하였다. 접화군생의 기상이 없다면 홍익인간의 염원이 생길 수 없다는 뜻이다. 그리고 접화군생이 삼라만상과 연관이 있다고 한다면, 홍익인간은 집약된 민생사회에 대한 염원으로 해석한 특징이 있다. 안재홍은 고대의 신도(神道)사상은 영환(永桓) 창조(創造)의 대도(大道)라 하였고, 이를 수와 연관을 지어 설명한다. 곧 그는 「부루」 혹은 신도사상의 인생과 우주관 등을 신도와 연관을 지으며 설명하는 형식을 취한다. 그것이 곧 ‘일천(一天) – 이지(二地) – 삼종(三種) – 사생(四生) – 오섭리(五攝理) – 육지속(六持續) – 칠사위(七事爲)’라 칭한다. 이 가운데 일천-이지-삼종의 사상은 천지인 삼재사상과 상통하며 『주역』과 『도덕경』과의 연관성을 아울러 설명하였다. 안재홍의 단군과 홍익인간에 대한 학문적 인식은 동양사상의 기본적인 틀 안에서 이루어진 것들이다. 천지인 삼재와 음양조화 천인상응 천인화합 등의 논의가 고스란히 내재되어 있다. 그는 자신이 설명한 신도(神道)를 한국의 고유한 사상이라고 하였지만 각각 역학(易學)과 도가(道家) 등에 연관지어 풀이할 수 있다. 다만 고대 우리 언어를 통하여 고유한 사상적 전통을 설명하고자 하나 논거가 부족한 면이 없지 않은 듯 하다.

목차

논문 초록
1. 서론
2. 아사달(阿斯達)의 이해
3. 단군(檀君)의 건국
4. 홍익인간과 접화군생(接化群生)
5. 대도(大道)와 수(數)의 의미
6.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성호준 Sung Ho-jun. 영산대학교 성심교양대학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