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개인채무자보호법상 기한의 이익 상실 제한과 장래이자채권의 면제

원문정보

“Acceleration clause”* and exemptions from “future interest bonds” under the Personal Financial Debtor Protection Act

김대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Act on the Management of Personal Financial Bonds and the Protection of Personal Financial Debt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Personal Financial Debtor Protection Act”) was to be passed at the last regular session of the 21st National Assembly. The Individual Financial Debtor Protection Act is scheduled to go into effect nine months after the government goes through the legal promulgation process. The Financial Services Commission evaluated that the “Korean-style public-private debt restructuring system” spanning “financial companies, credit recovery committees, and courts” was completed as financial companies’ own debt restructuring was legislated through the Personal Debtor Protection Act. However, the core of the “Korean-style public/private debt adjustment system” lies in the “Korean style.” It was a logic that justified imposing certain restrictions on the exercise of basic rights universally guaranteed in democratic societies around the world. To this extent, the enactment contains many provisions that infringe on creditors' fundamental and property rights, such as freedom of contract and freedom of business. In particular, the enactment bill not only has legal problems that go against the principles of private autonomy, such as freedom of contract and the principle of self-responsibility, such as ‘limitation on loss of profits by the deadline’ and ‘exemption of future interest claims’, but also has the potential to be unconstitutional due to excessive legislation, such as infringing on creditors’ property rights. It's plentiful. Accordingly, this study first looked at the content of the limitations on loss of profits within the period under the Personal Debtor Protection Act (Article 6 and Article 7) and the problems caused by the limitation of effect, and then looked at the content and problems of the exemption from future interest claims (Article 9). According to this, Article 6 of the Personal Debtor Protection Act contains content that runs counter to the principle of self-responsibility without reasonable grounds in relation to transactions between personal financial debtors and bond finance companies, etc., which are difficult to regard as being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other civil transactions to which the principle of self-responsibility applies. It contains. If the Individual Debtor Protection Act is implemented, delinquency management costs, which are reflected in advance in transaction interest rates, will inevitably increase significantly. The resulting disadvantage is bound to be passed on to all financial debtors, including sincere personal financial debtors. The results of enforcement of Article 9 of the Individual Debtor Protection Act will be the same as Article 6. The enforcement of this law will inevitably result in a zero-sum effect in which the share borne by creditor financial institutions is transferred to individual financial debtors. Forcing a one-sided burden on creditors and mandating the exemption of overdue interest, which is compensation for damages arising from default, also conflicts with the legal principles of overdue interest. Since it is not expected to increase the overall welfare of society enough to change our legal system, Articles 6 and 7, which limit the loss of term profits, and Article 9, which exempts future overdue interest claims arising from the debtor's delinquency, were also re-enacted before the enforcement of the law. It is desirable to discuss and delete it to stabilize credit practices and the supply of funds to consumers.

한국어

「개인금융채권의 관리 및 개인금융채무자의 보호에 관한 법률」(이하 “개인채무자보호법”) 제 정안이 21대 마지막 정기국회에서 통과됐다. 개인채무자보호법은 정부의 법률 공포 절차를 거쳐 9개월 후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금융위원회는 개인채무자보호법으로 금융사 자체 채무조정이 법제화되면서 ‘금융회사-신용회복위원회-법원’에 이르는 “한국형 공(公)・사(社) 채무조정 체계” 가 완성됐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한국형 공(公)・사(私) 채무조정 체계”의 핵심은 “한국형”에 있다. 세계 민주사회에서 보편적으로 보장하는 기본권 행사에 일정하게 제한을 가하는 것을 정당화하는 논리였다. 그만큼 제정안은 계약체결의 자유, 영업의 자유 등 채권자의 기본권과 재산권을 침해하는 내용을 다수 내포한다. 특히 제정안은 ‘기한의 이익상실제한’이나 ‘장래이자채권의 면제’ 등 계약의 자유나 자기책임 원칙 등 사적자치 원칙을 거스르는 법리상 문제점뿐 아니라 채권자의 재산권을 침해하 는 등 과잉입법으로 위헌 소지가 다분하다. 이에 본 연구는 먼저 개인채무자보호법상 기한의 이익상실 제한의 내용(제6조와 제7조)과 효과 제한에 따른 문제점을 살피고, 그다음 장래이자채 권 면제의 내용(제9조)과 문제점을 살폈다. 이에 따르면, 개인채무자보호법 제6조는 자기책임의 원칙이 적용되는 다른 민사상 거래와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고 보기 어려운 개인금융채무자와 채권금융회사 등 사이의 거래에 관하여 합리적인 이유 없이 자기책임 원칙에 역행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개인채무자보호법을 시행하 면, 거래 금리에 미리 반영하는 연체관리 비용이 상당 부분 상승하지 않을 수 없다. 그에 따른 불이익은 성실한 개인금융 채무자를 포함한 전체 금융채무자에게 전가될 수밖에 없다. 개인채무 자보호법 제9조 시행의 결과도 제6조와 마찬가지일 것이다. 동법 시행으로 채권금융기관이 부담 하는 몫을 개인금융채무자에게 이전시키는 제로섬(zero-sum) 효과를 초래할 수밖에 없다. 채권자에게 편면적 부담을 강요하며 채무불이행으로 발생하는 손해배상금인 연체이자 면제를 의무 화하는 것은 연체이자의 법리와도 충돌한다. 우리 법체계를 달리 할만큼 사회 전체적인 후생 증대가 예상되는 것이 아니므로 기한이익 상실을 제한하는 제6조와 제7조, 채무자의 연체로 발 생하는 장래의 연체 이자채권을 면제하는 제9조도 법률 시행 전에 재논의하여 삭제하는 것이 여신 실무의 안정과 소비자의 자금공급을 안정화하는 데 바람직하다.

목차

요약
Ⅰ. 문제의 제기
Ⅱ. 기한의 이익 상실 제한의 문제점
Ⅲ. 장래 이자채권의 면제
Ⅳ.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대규 Kim, dae kyu. 서울디지털대학교 법무행정학과 교수, 법학박사(Dr. iur.)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