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시민들의 관점에서 본 공직가치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행정서비스의 공정성과 투명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n Exploratory Study on the Impact of Public Service Values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from the Public's Perspective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Fairness and Transparency in Public Administrative Services

최예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study to analyze the effect of public office value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fairness and transparency in public administrative services, which are the core of public administr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professionalism (work ability), kindness, sincerity, the fairness of public administrative services, and the transparency of public administrative services had positive effects on public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communication & bargaining power and political neutrality had positive effects on the quality of public administrative services. Third, Creativity and self-development efforts had negative effects on public administrative service satisfaction. Fourth, when the fairness of public administrative services increased, the willingness to work (job immersion) had a positive effect on public administrative service performance. Fifth, responsibility and the response to changes in the environment had positive effects on public administrative service satisfaction when the fairness of public administrative services increased. Sixth, when the transparency of public administrative services increased, sincerit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quality of public administrative services. Based on these, policy implicatios are as follows. The professional education programs, the programs to strengthen service minds of public officials, the support for improving creativity, the introduction of user-centered programs, and the programs to strengthen political neutrality of public officials are necessary to improve public organizational performance.

한국어

본 연구는 탐색적 연구로서 시민들의 관점에서 공직가치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관 계에서 행정의 핵심인 행정서비스의 공정성과 투명성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첫 째 공직가치 중 전문성(업무능력), 친절·봉사성, 성실성 및 행정서비스의 공정성과 행정서비스의 투 명성은 조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둘째 공직가치 중 의사소통 및 협상력과 정치적 중립 성은 행정서비스 질에 정(+)의 영향을 주었으며, 셋째, 창의성과 자기발전 노력은 행정서비스 만 족도에 부(-)의 영향을 미쳤다. 또한 조절변수의 효과에서는 첫째, 행정서비스 공정성과 근무의욕 의 상호작용항이 조직성과에 정(+)의 영향을 주었고, 둘째 행정서비스 공정성과 행정환경 변화대 응도, 책임성의 상호작용항은 행정서비스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셋째 행정서비스 투 명성과 성실성의 상호작용항은 행정서비스 질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분석내용에 기반 하여 정책적 함의로는 전문성 강화 및 전문교육 프로그램 실시, 서비스 마인드 강화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실시, 성과평가 체계 개선, 행정서비스 제공과정 및 관련 의사결정과정에 대한 정보 제공, 사용자 중심의 프로그램 도입 등 창의성과 자기발전 지원, 정치적 중립성 및 의사소통과 협상 기술 강화를 위한 교육 제공 등을 제시하였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1. 공직가치의 개념과 유형 논의
2. 조직성과로서 행정서비스 만족도와 행정서비스의 질
3. 조절변수로서 행정서비스의 공정성․투명성과 조직성과의 관계
4. 선행연구 고찰 및 본 연구의 차별성
Ⅲ. 연구모형
1. 분석 틀
2. 변수 및 측정지표 설정
3.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Ⅳ. 분석 결과
1. 공직가치와 조직성과의 관계에서 행정서비스 공정성의 조절효과 분석
2. 공직가치와 조직성과의 관계에서 행정서비스 투명성의 조절효과 분석
3. 분석적 함의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예나 Yena, Choi. 충북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