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고개지의 예술과 당조 화품론의 상관성 고찰

원문정보

A Study of correlation between Arts of Gù Kǎizhī and the arts grading theories of Tan Dynasty

김선옥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Zhang Huaiqi from Tang Dynasty categorized artworks from Wei Jin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to early Tang Dynasty into three grades: shénpǐn (神品, holy grade, exquisite artistic techniques from the God), miàopǐn (妙品, profound grade: artworks with exquisite composition and intention that public can’t think of), and néngpǐn (能品, well-likened grade: artworks with realistic technique). These three grades are sequentially arranged thus the holy grade can be called the highest rank. Gù Kǎizhī’s artworks that occupy as the holy grade in the arts grading during Tang Dynasty, his artistic viewpoints, and his aesthetics also reflected in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ang Dynasty. Thus, it’s very important than anything to search Gù Kǎizhī’s artistic characteristics through correlation with the arts grading from Tang Dynasty to affirm his artistic characteristics, impact on future generations, and determine his artistic recognition. Gù Kǎizhī (345~406) is titled as an excellent painter because he turned Oriental painting that had been remained as pragmatic art into the fine art. He was from Wúxī of Dōng Jìn during Wei Jin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his zì (字) is cháng kāng (長康, long-life and wealthy) and his hào (號) is hǔtóu (虎頭, head of a tiger, or a nobleman) 《Admonitions of the Court Instructress》and 《The Nymph of the Luo River》currently well represent Gù Kǎizhī’s artworks. Even these artworks were copied in later generations, Gù Kǎizhī’s painting style is fully inherent in perspective of strict oriental arts with the tradition of “transmission by copying.” Also, debates about the art of Gù Kǎizhī was abundantly presented in Tang Dynasty, thus there are enough resources to discuss about the art of Gù Kǎizhī. Artistic characteristics of Gù Kǎizhī were examined focusing on 《Admonitions of the Court Instructress》and 《The Nymph of the Luo River》. These artworks were divided into sections or seriated based on what contents to deliver. He concentrated on outlines and depiction based on the line drawing technique using the brush. His aesthetics in those artworks are well reflected in his writings. His aesthetics can be looked especially on 『Lùn huà (論畵, Art Theory)』; the keypoint is ‘chuán shén xiě zhào (傳神寫照, drawing a figure vividly)’. The aesthetics of chuán shén xiě zhào consist the thesis called ‘yǐ xíng xiě shén (以形寫神, draw consciousness as a figuration)’ and ‘qiān xiǎng miào de (遷想妙得, transfer thoughts and get details).’ Gù Kǎizhī’s artworks that were painted based on aesthetics of chuán shén xiě zhào appear as aesthetics of spirit and presence; it means when the artist communes with subject’s loyalty through his intuition, subject’s interest is shown on the canvas through the artist. The arts grading during Tang Dynasty was focused on the art of Gù Kǎizhī.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of Gù Kǎizhī based on the arts grading during Tang Dynasty are as follows: the artistic characteristic of the zhǔ kè hé yī (主客合一, the unity of the people), the artistic characteristic of the xíng shénmiào hé (形神妙合, the unity of body and spirit), lastly, the artistic characteristic of line drawing rather than oriental ink painting.

한국어

예술은 평가와 전승 과정을 거쳐 인류 보편의 미학 체계에 편입된다. 위․진의 고개지 예술은 동양 예술의 출발선상에 있으며 동양 예술의 근간이 된다. 이 또한 평가 와 전승 과정을 거쳤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고개지 예술과 당조 화품론과의 상관 성에 대한 고찰은 고개지 예술에 대한 평가는 물론 전승 과정은 어떠했으며, 두 요소의 상관성 안에 내재한 예술 특성은 어떤 것이었는지에 대한 탐색이다. 고개지(顧愷之, 345~406)는 동양의 화성(畵聖)으로 일컬어진다. 그는 실용화 (實用畵)에 머물던 동양의 그림을 예술화(藝術畵)로 돌려놓았으며, 동양 회화의 골간 인 신채미(神采美)의 길을 터놓았다. 고개지의 예술품은 현재 《여사잠도(女史箴圖)》 와 《낙신부도(洛神賦圖)》가 전한다. 수대(隋代)와 송대(宋代)의 모사품으로 전하지 만 고개지의 화풍이 잘 반영되어 있다. 또한 그의 예술에 관한 저술들은 주로 전신론 (傳神論)에 관한 것으로 고개지 예술특성 뿐만 아니라 후대 예술론과의 동일성과 차이 성 조명에도 많은 도움이 된다. 당의 화품론은 예술품에 대한 평가이고 특색 규명이다. 이 화품론은 고개지의 예술에 대해 다루었다. 당대 초기에 이사진은 회화작품을 일품(逸品)과 3품(品) 9등법 (等法)에 대입하여 10등법(等法)으로 분류하였다. 이사진에 이어 장회관은 신(神)・ (묘)妙・능(能) 3품법을 제시하였다. 장회관의 3품법을 받아들였던 주경현은 일품(逸 品)을 첨가하여 3품에 해당시킬 수 없으나 탁월한 작품들을 귀속시켰다. 주경현 이후 장언원은 자연(自然)・신(神)・묘(妙)・정(精)・근세(謹細)로써 5품론을 제시하였다. 이사진부터 장언원까지 오랜 기간의 화품론 전개는 최상의 작품으로 고개지의 작품을 선정하였다. 고개지의 작품은 화품론을 통해 당의 미학적 범주와 밀접한 상관성이 있음을 보 여준다. 고개지의 예술과 예술론은 전신사조(傳神寫照)에 입각한 신채미(神彩美)에 있 었으며, 당조의 화품론 또한 고개지의 전신적 예술에 대하여 신품(神品)으로 평가하였 다. 따라서 위․진 고개지부터 당조 화품론에 이르기까지 예술 미학은 전신론으로 통 합되었다. 그러나 그 양상은 2가지 성향으로, 고개지는 그림 대상에 대한 전신이었으 며, 당조 화품론은 화가 자신의 전신에 관한 것으로 그 차이점이 본 논고를 통해 밝혀 졌다.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고개지의 예술과 예술론
Ⅲ. 당대 화품론과 고개지에 대한 품평
Ⅳ. 고개지 예술과 당조 화품론의 상관성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선옥 Kim, sun ok. 성균관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