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여자 전통 한복과 현대 한복에 표현된 조형 요소의 기호학적 분석 - 조선시대와 현대의 한복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Semiotic Analysis of Formative Elements in Women’s Traditional Hanbok and Modern Hanbok - Focusing on Joseon Dynasty and modern Hanbok -

배리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Hanbok (韓服) began to be used as a word that is differentiated from suit (洋服), which means an item of clothing imported from the West and is now being used as a word to indicate Korean traditional clothing until now. In addition to the original meaning, Korean traditional clothing has continuously experienced changes and development by adding various forms and meanings such as daily practical Hanbok, which emphasizes the functional aspect by changing the form of Hanbok, and fusion Hanbok, which is a mixture of formative elements of Western clothing. In recent days, the New Hanbok with different styles, which reflects th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and values of modern people in the original meaning of Korean traditional clothing, has appeared. Thanks to numerous efforts including institutional changes in the government and a transition in their own perception of the ordinary people, the Hanbok of recent days could be defined and has been positioned as a positive image for many people. On the other hand, a tendency that some people to have a negative perception of modern Hanbok, which was different in many aspects from the traditional Hanbok, also emerged. On the other hand, as humans begin to communicate with consciousness each other, the symbols are being employed as the most essential method of expression and communication, and the study of semiotics is thus becoming popular in recent days. Everything surrounding us is composed of symbols, and clothing also conveys various ideas and opinions of the modern generation using a combination of numerous symbols. In this regard, this study intended to analyze the modern Hanbok, which is being debated a lot in terms of the formative and symbolic perspective, based on the semiotic approach. The root cause of applying semiotics in analyzing the formative elements of modern Hanbok stems from the concern about encountering limitations in the analysis due to subjective criteria such as intuition, experience, and prejudice, or being biased to prejudice and errors. In other words, it was because of the judgment that such prejudice and errors can be a standard, which can make people objectively consider the meaning of symbols and the creation process of the meanings through the process of intentionally reviewing and artificially manipulating them. Literature study and case analysis were employed as the research method. This studyd is cussed not only the meaning and concept of semiotics but also the details of symbolism expressed in traditional Korean clothing through literature study and analyzed the symbolized cases expressed in the traditional Hanbok of women and modern Hanbok through case analysis. This study also employed F. Saussure's concept of semiotics theory that isconsidered the direct origin of semiotics for the comparative analysis of symbols in both Korean traditional Hanbok and modern Hanbo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results of the formulation and symbol analysis of modern Hanbok by applying semiotics to the formative elements expressed in women's traditional Hanbok and modern Hanbok.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lors of traditional Korean clothing are based on theory of Yingyang-Wuxing. The pattern is based on Confucianism, which was the basic ideology of the Joseon Dynasty. The shape of the costume is an expression of the thoughts, philosophy, life hall, space hall, etc. of the doubles wearer. Second, examples of symbolization expressed in women's traditional han-bok include the wearing of dan-sokgot, waist skirts, and jang-ot. Examples of material symbolization include patterns such as with Ten Longevity Symbols, pomegranate, phoenix. Examples of color symbolization include jeogori and won-sam. Third, examples of form symbolization expressed in women's modern hanbok include a mix of unisex styles, chor-ic dresses, and diversification of the ways costume are worn and their positions. Examples of material symbolization include designs that utilize new materials, designs that utilize lace, and designs that utilize monophonic sentences, bilingual sentences, etc. Examples of color symbolization include color contrast, achromatic design, color emphasis design, and tone unified design. Fourth, langue is strongly present in traditional hanbok. Parole is strongly expressed in modern Hanbok. Fifth, the signifier that appear in the form of women's traditional Hanbok include git, go-reum, dong-jung, mu, sup, skirt wrinkles. The signifier that appears on the material has its material and pattern. The colors correspond to the five cardinal colors. Women The signifier that appear in the form of modern Hanbok include git, go-reum, dong-jung, mu, sup, skirt wrinkles. The signifier that appears on the material has its material and pattern. Colors include various colors expressed by brightness, saturation, and color harmony. Sixth, the signified of women's traditional hanbok corresponds to the symbolic meaning of the seal. The signified of women's modern hanbok includes the modern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fashion trends, the will to pass on traditional culture, and the individual preferences of the costume wearer.

한국어

한복(韓服)은 서양에서 들어온 복식을 의미하는 양복(洋服)과 구분되는 단어로 사용되기 시작하여 현재까지 우리 민족의 전통복식을 의미하는 단어로 쓰이고 있다. 한국 전통복식은 본래의 의미 이외에 한복의 형태에 변화를 주어 기능적인 측면을 강 조한 생활한복, 서양복식의 조형적 요소와 혼합된 형태의 퓨전한복 등 다양한 형태와 의미가 추가되면서 지속적으로 변화와 발전을 겪어왔다. 그리고 최근에는 한국 전통복 식이 가진 본래의 의미에 현대인들의 사회‧문화적 배경과 가치관이 반영된 새로운 형 태의 신(新)한복이 등장하였다. 신한복은 정부의 제도적인 변화와 일반인들의 자체적 인 인식 변화를 포함한 수많은 노력에 의해 정의될 수 있었고, 많은 이들에게 긍정적인 이미지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한편에서는 전통적인 형태의 한복에서 많은 부분이 변 화한 현대 한복에 대해 부정적인 시선을 갖는 이들이 생겨나기도 하였다. 한편, 인간이 의식을 갖고 의사소통을 시작하면서 ‘기호’는 가장 필수적인 표현 및 전달방법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오늘날 기호학이라는 학문이 유행하고 있다. 우리 주변 모든 것은 기호로 구성되어 있으며, 복식 또한 수많은 기호들의 조합 을 통해 현 세대의 다양한 의사를 전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조형적, 상징적 측면에서 많은 논란이 되고 있는 현대 한복을 기호학적 접근 방법을 기준으로 적용해 분석해 보 고자 한다. 현대 한복의 조형적 요소 분석에 기호학을 적용시키는 것은 디자인 분석 시 직관과 체험, 선입견 등의 주관적인 기준에 의해 분석의 한계에 부딪히거나 편견과 오 류에 치우칠 수 있다는 우려에 의한 것으로, 이를 의도적으로 검토하고 인공적으로 조 작하는 과정을 통해 기호의 의미작용과 의미의 창출과정을 객관적으로 고찰할 수 있게 해줄 기준이 될 것이라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사례분석의 방법 으로 실시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기호학의 의미와 개념, 한국 전통복식에 표현된 상 징성에 대한 내용을 고찰하였으며, 사례분석을 통해 여자 전통 한복과 현대 한복에 표 현된 기호화 사례를 분석하였다. 한국 전통 한복과 현대 한복에 나타난 기호의 비교분 석은 기호학의 직접적인 기원을 이루고 있는 소쉬르(F.Saussure)의 기호학 이론 개 념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여자 전통 한복과 현대 한복에 표현된 조형 요소에 기호학을 적용하여 비교 분석 함으로서 현대 한복의 조형과 상징 분석 결과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전통복식의 색상은 음양오행설(陰陽五行說)을 기본으로 한 개념이 다. 한국 전통복식의 문양은 조선시대의 기본 사상인 유교사상을 토대로 한 것이다. 한국 전통복식의 형태는 복식 착용자의 사상, 철학, 인생관, 우주관 등을 복식에 표현한 것이다. 둘째, 여자 전통 한복에 표현된 형태의 기호화 사례에는 단속곳, 허리 치마, 당 코깃 당의, 쓰개용 장옷이 있다. 소재의 기호화 사례에는 십장색문, 도류불수문, 석류 문, 봉황문 등의 무늬가 있다. 색채의 기호화 사례에는 색동 저고리, 원삼이 있다. 셋째, 여자 현대 한복에 표현된 형태의 기호화 사례에는 남녀공용복식 형태 혼 합, 철릭 원피스, 복식 착용 방법과 위치의 다양화 등이 있다. 소재의 기호화 사례에는 신소재 활용디자인, 레이스 활용 디자인, 단청문, 쌍학문 등을 활용한 디자인 등이 있 다. 색채의 기호화 사례에는 색채 대비, 무채색 디자인, 색 강조 디자인, 톤의 통일 디 자인 등이 있다. 넷째, 전통 한복에는 랑그가 강하게 나타나있으며, 현대 한복에는 파롤이 강하 게 나타나 있다. 다섯째, 여자 전통 한복의 형태에 나타난 기표에는 깃, 동정, 고름, 무, 섶, 배 래, 치마 주름 등이 있고, 소재에 나타난 기표에는 재질과 문양이 해당된다. 색채에는 오방색이 해당된다. 여자 현대 한복의 형태에 나타난 기표에는 깃, 동정, 고름, 무, 섶, 배래, 치마 주름 등이 있고, 소재에 나타난 기표에는 재질과 문양이 해당된다. 색채에 는 명도, 채도, 색상의 조화에 따라 표현되는 다양한 색이 해당된다. 여섯째, 여자 전통 한복의 내포적 의미는 기표의 상징적 의미에 해당되고, 여자 현대 한복의 내포적 의미는 현대의 사회‧문화적 배경, 패션의 유행, 전통문화 계승 의지, 복식 착용자 개인의 취향 등이 해당된다.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1. 연구 목적 및 방법
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Ⅱ. 이론적 배경
1. 기호학의 의미와 개념
2. 한국 전통복식에 표현된 상징성
Ⅲ. 여자 전통 한복과 현대 한복에 표현된 기호
1. 여자 전통 한복에 표현된 기호화 사례
2. 여자 현대 한복에 표현된 기호화 사례
Ⅳ. 여자 전통 한복과 현대 한복에 표현된 기호 비교 분석
1. 전통 한복과 현대 한복에 표현된 랑그와 파롤
2. 전통 한복과 현대 한복에 표현된 외연적 의미와 내포적 의미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배리듬 Bae, Rhythm. 전남대학교 의류학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