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 근세기 풍속화의 화중유악(畵中有樂)에 나타난 풍류상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Pyungnyu Depicted in Hwajung-Yuak(Music-themed Painting) Korean Genre Paintings from the modern period

강옥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pyungnyu depicted in hwajung- yuak(music-themed painting) Korean genre paintings featuring musical instruments from the modern period(18th-19th century) and to examine and compare the styles and characteristics of hwajung-yuak by social class. In the process of accepting Chinese musical culture, the Korean people have developed their own musical art that combines Korean identity and creativity.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there was a unique music called Hyangak, and musical instruments such as Geomungo, Gayageum, Hyangbipa, and Samjuk existed during that period. We can see from the ancient records that people accepted the instruments imported from China but improved them to create new instruments without losing their original functions. Musical instruments are an essential material medium for expressing musical thoughts and feelings, and attitudes toward accepting and improving musical instruments can be viewed as a creative act of musical art.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and the Manchu War, court music began to decline, but relatively, folk music became popular and performing arts by professional artists flourished. In addition, as new Silhak ideology emerged and official delegations from Joseon visited the Qing Dynasty, interest in Western music and foreign instruments increased, and as urbanization was promoted due to the development of commerce, the number of professional musicians performing in entertainment venues also increased. In the modern period, pungnyubang music evolved mainly around noblemen and middle-class intellectuals who enjoyed arts and entertainment, and folk music evolved on the grassroots level, and as upper-class culture and lower-class culture complemented each other, a unique Korean aesthetic was formed.

한국어

본고의 목적은 한국 근세기(18〜19세기) 악기가 그려진 풍속화에 나타난 신분 계층별에 따른 이른바 ‘화중유악(畵中有樂)’에 깃든 풍류상과 그 특성을 고찰․비교해 보는 데 있다. 우리 민족은 중국의 음악문화를 수용하는 과정에서 우리의 주체성과 창 조성이 융합된 독자적인 음악예술을 발전시켜왔다. 삼국시대에 향악(鄕樂)을 비롯하여 거문고[玄琴]와 가야금, 향비파, 삼죽(三竹) 등의 악기가 존재했는데, 중국에서 수용된 악기를 법고창신(法古創新) 차원의 개량악기로 변용해 사용했음을 문헌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악기는 음악적 사고와 느낌을 표현하는 데 필수적 물적 매개물로써, 이 같은 악기 수용 태도와 개량은 창조적인 음악 예술 행위의 하나로 볼 수 있다. 임진왜란․병자호란 등의 전쟁을 겪은 후에는 궁중음악이 쇠퇴하기 시작했지만 상대적으로 민간의 풍류음악이 유행하였고 전문예술인에 의한 공연예술도 발달하였다. 아울러 새로운 실학사상이 등장하고 중국 청나라를 왕래하던 연행사(燕行使)를 통해 서양음악과 외래 악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상공업의 발달로 도시화가 촉진되면서 유흥공간에서 펼쳐지는 전문음악인도 증가했다. 근세기에 사대부와 중인계층 지식인 풍류객 중심으로 풍류방 음악과 기층계층 중심으로 민속음악이 발달하였고, 상층문화 와 기층문화가 상호보완되면서 독특한 한국적인 미의식이 형성되었다.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신분적 배경과 화중유악 풍속화
Ⅲ. 신분 계층별 ‘화중유악’ 풍류상과 특성
1. 양반 계층의 화중유악 풍류상과 특성
2. 서민계층의 화중유악 풍류상과 특성
I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강옥희 Kang, Ok Hee. 성균관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