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environmental uncertainty, social capital and performance of firm. And we also analyze the impacts of social capital under perceived environmental uncertainty on the performance of firm. As empirical results of analysis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environmental uncertainty and structural capital among the components of social capital. The social capitals have positive impacts on the improvement of performance of a firm such as customer, time and quality performance. These results show that forming and use of social capital as a strategy to overcome environmental uncertainty plays a major role in improving performance of firm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과 가설설정
Ⅲ. 연구설계
Ⅳ. 실증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참고문헌
- 1김병곤⋅김종욱⋅박순창(2003), “EDI효과구성요인의 인과모형 개발”, 경영학연구, 32(1), 59-86.
- 2김상오⋅윤선희(2008), “환경적 불확실성과기업 간 협력이 공급사슬 유연성에미치는 영향분석”, 경영연구, 23(1), 337-364.
- 3김팔술⋅홍관수⋅이병찬(2004), “최고경영자의 지원이 SCM 활동과 성과간의관계에 미치는 영향”, 경영경제, 37(4), 143-167.
- 4박승욱⋅이돈희⋅이형재(2013), “대기업의1⋅2차 협력사 간의 사회적 자본 형성이 1차 협력사의 동반성장 의지와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산관리학회지, 24(4), 513-535.
- 5박주식(2011), “대⋅중소기업 협력활동이중소기업의 동반성장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울산소재 H 조선사와 협력업체를 대상으로” POSCO 경영경제연구, 11(3), 105-129.
- 6이돈희(2016), “사회적 자본이 CSR 이행의지와 지속가능 SCM 성과에 미치는영향: 파트너십 정도를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지, 29(1), 65-93.
- 7이원기(2013), “관리회계시스템에 의한 동기유발 효과가 기업성과에 미치는영향”, 경영연구, 28(1), 267-298.
- 8정무관⋅김종석⋅강태윤(2000), 시장 지향적기업만이 살아남는다, 서울: 위즈덤하우스.
- 9최종민(2006), “조직문화, 경영전략, 첨단 생산기술과 관리회계 정보간의 상호관련 성 및 인과관계”, 경영연구, 21(2), 79-116.
- 10Achrol, S. and W. Stern(1988), “Environmental Determination of Decision Making Uncertainty in Marketing Channel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5, 36-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