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불확실성 회피성향 기반의 화장품 패키지디자인 전략 연구 - 정교화 가능성 모델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Package Design Strategy Based on Uncertainty Avoidance Tendency - Focusing on Elaboration Likelihood Model(ELM) -

차은수, 김승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the degree of design sophistication possibility varies depending on the level of uncertainty avoidance resulting from cultural differences and can be applied to cosmetic package design. To this end, we looked at uncertainty avoidance tend ency and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through literature research, divided the elements of Chinese export cosmetic s package design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central an d peripheral clues, and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Korean and Chinese users. As a result of the case study, it can be seen that Hofstede's concept of uncertainty avoidance level is still meaningful from the perspective of cross-cultural historical research and design studies. Additionally, package design influences the purchasing of cosmetics by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Among package design elements, the overall image was found to be an im portant factor in product purchase. In cultures with a hig h uncertainty avoidance tendency, it is effective to provid e more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 through package de sign, and in cultures with a low uncertainty avoidance te ndency, it is more effective to provide moderate informati on rather than providing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pr oduct. Through future research, the impact of central and peripheral clues in package design on consumer attitudes should be identified in more detail and a specific and systematic study reflecting the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export destination country should be conducted.

한국어

본 연구는 문화적 차이에서 비롯된 불확실성 회피 수준에 따라 디자인의 정교화 가능성 정도가 다르고, 화장품 패키지 디자인에도 적용될 수 있는지를 밝히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 다. 이를 위해 문헌조사를 통해 불확실성 회피성향과 정교화 가능성 모델을 살펴보고, 중국 수출용 화장품 패키지디자인 의 요소를 중심단서와 주변단서에 따라 세 가지 유형으로 구 분하여 한국과 중국 사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 다. 사례조사 결과, 홉스테드의 불확실성 회피수준의 개념은 여전히 비교 문화사적 연구와 디자인학 관점에서 의미가 있 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패키지디자인은 한국과 중국 소비자가 화장품을 구매하는데 영향을 주고, 패키지디자인 요소 중 전 체적인 이미지는 제품 구매에 중요한 요인임이 밝혀졌다. 불 확실성 회피성향이 높은 문화권에서는 패키지디자인을 통해 제품에 대한 정보를 보다 많이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이고, 불 확실성 회피성향이 낮은 문화권에서는 제품에 대한 정보를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것보다는 절제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향후 연구를 통해 패키지디자인의 중 심단서와 주변단서가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상 세하게 파악하여 수출 대상국의 사회·문화적 특성을 반영한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연구 프로세스
2. 이론적 고찰
2.1. 불확실성 회피성향
2.2. 정교화 가능성 모델
3. 연구방법
3.1. 연구모형 및 가설
3.2. 실험설계
4. 연구결과
4.1. 불확실성 회피성향 차이
4.2 패키지디자인 영향 여부
4.3 패키지디자인 요소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
4.4 중심단서와 주변단서 차이
4.5 불확실성 회피성향에 따른 중심단서와 주변단서 차이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차은수 Tchah Eun Soo. 유한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
  • 김승환 Kim Seung Hwan. ㈜스터닝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