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근기 남인 문단에서 번암가 문학의 위상 — 채유후·채팽윤·채제공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Prestige of Beonam Family’s Literature in the Metropolitan Namin Literary circles : Focusing on Chaeyuhoo, Chaepaengyun, Chaejegong

윤재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Beonam Chaejegong was a political center of the metropolitan Namin community in the mid and late 18th century. Therefore, it is clear that ChaeJegong’s main activities are in politics, and that his writings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e time, but his literary status is no less than that of anyone at the time. However, if you look at his family, you can see that the family's academic influence that influenced his literature is significant. In this regard,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literary prestige of the Chaejegong in connection with the family’s literary genealogy. The first thing to be discussed when discussing the literary prestige of the Chaejegong family is the story of the flow of poetry, the metropolitan Namin community by Chaejegong to Jungyagyong, but this story is likely to have a political bias. In addition, various discussions about the literary sprestige of the Chaejegong family may have emerged after this story of Chaejegong. Therefore, it cannot be ruled out that later evaluations of the literary prestige of the Chaejegong family were made under the political influence of Chaejegong. However, even if there are such questions, no one at the time or later generations denies the literary prestige of the writers Chaejegong talked about. In this regard, the literary prestige of Chaeyuhoo, Chaepaengyun, and Chaejegong of the Chaejegong family cannot be denied. The three men, Chaeyuhoo, Chaepaengyun, and Chaejegong, shared the universal literary trend of the metropolitan Namin community literature, and continued the family’s literary trend through family’s academic influence, and tried to incorporate their own personality into their literature. While maintaining their literary personality, they created excellent works while not forgetting to consider the tradition of family’s academic influence and the traditional literary theory of the metropolitan Namin community literature and gained a high literary reputation. Therefore, their literature has another meaning that not only shows their individual literary achievements, but also shows the process by which the family’s academic influence tradition of their families has been formed and developed.

한국어

번암 채제공은 18세기 중·후반 근기 남인계열의 정치적 구심점이었던 인물이다. 따라서 채제공의 주된 활동이 정치에 있고, 그의 글이 당대의 정치 상황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것은 분명하지만, 그의 문학적 위상 역시 당대 누구에게도 뒤떨어지지 않는다. 그런데 그의 가문을 살펴보면 그의 문학에 영향을 미친 가학의 영향이 상당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런 점에서 체재공의 문학적 위상은 가문의 문학 계보와 연계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다. 채제공 가문의 문학적 위상을 논할 때 가장 먼저 거론되는 것은 채제공이 정약용에게 한 남인 시맥에 관한 이야기이지만, 이 이야기는 정치적 편향성을 지녔을 가능성이 있다. 또 채제공 가문의 문학적 위상에 관한 여러 논의가 채제공의 이 이야기 이후에 나왔을 수도 있다. 따라서 채제공 가문의 문학적 위상에 관한 후대의 평가가 채제공의 정치적인 영향 아래 이루어졌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그러나 이런 의문점이 있다고 하더라도 채제공이 이야기한 문인들의 문학적 위상에 대해서는 당대나 후대의 누구도 부정하지 않는다. 그런 점에서 채제공 가문의 채유후·채팽윤 그리고 채제공의 문학적 위상은 부정하기 어렵다. 채유후·채팽윤·채제공 세 사람은 근기 남인계열 문단의 보편적인 문학 경향을 공유하면서도 가학을 통해 이어진 가문의 문학 경향을 이었고, 자신만의 개성을 그들의 문학 속에 담고자 했다. 이들은 자신들의 문학적 개성을 유지하면서도 가학의 전통과 남인 계열의 전통적인 문학론에 대한 고려를 잊지 않으면서 훌륭한 작품을 창작하여 높은 문학적 명성을 얻었다. 따라서 이들의 문학은 이들 개개인의 문학적 성과만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이들이 속한 가문의 문학 전통이 형성되고 발전되어 온 과정을 보여주는 것이라는 또 다른 의미를 지닌다.

목차

[ 국문초록 ]
1. 서론
2. 번암가의 가계와 문학적 계보
3. 번암가의 문학적 성취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윤재환 Yoon, JaeHwan. 단국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