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삼공본풀이>와 환대의 서사학 : 타자, 폭력, 포용의 관점에서

원문정보

“Samgong-bonpuri” and the Narrative of Hospitality : In terms of Other, Violence, and Embrace

신호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focuses on “Samgong-bonpuri,” the shamanistic myth of Jeju Island. “Samgong-bonpuri” is sung by the shaman of Jeju Island called ‘shimbang’ in the ritual procedure ‘Samgongbonpuri’ of the great ‘gut(Korean shamanistic ceremony),’ and deals with the god related to ‘jeonsang’ which means a fortune or fate. “Samgong-bonpuri” can be said to be a ‘myth of the other’ that pays attention to the human attitude toward the god, ‘Gameunjang-agi.’ Gameunjang-agi is the female character in “Samgong-bonpuri.” Her parents were originally beggars, but when three daughters were born, they suddenly became super rich. One day Gameunjang-agi’s parents ask their daughters of the origin of good fortune. Unlike her sisters, Gameunjang-agi answers the origin of good fortune came from herself instead of her parents, which means Gameunjang-agi threatens the system of a family community composed around parents. Gameunjang-agi is not re-embraced as a family community and expelled in the form of a stranger. Violence in the family community, which ousted the other, eventually leads to the breakdown of the family. Gameunjang-agi leaves home and arrives at the beginning where Matung’s family lives. The third Matung welcomes Gameunjang-agi. The way of hospitality is achieved through a dynamic process of changing the place of a guest and host. The third Matung’s hospitality to Gameunjang-agi in the family makes the group’s identity shake for a while, but the family community is further enriched through the event of wealth accumulation through the acquisition of gold.Hospitality to parents leads to a scene where parents recover their eyesight again. The hospitality reflected in “Samgong-bonpuri” shows an absolute hospitality, but does not mean an one-side aspects of giving up all priority to others. This is because it also emphasizes the ethical attitude of humans to carry out hospitality by emphasizing reciprocity. The reciprocity of hospitality or human ethical attitude is embodied in the narrative of “Samgong-bonpuri” as an act of giving to others.

한국어

본고는 제주도의 무속신화 <삼공본풀이>를 연구대상으로 삼아 전상신인 ‘가믄장아기’라는 타자에 대한 주변 사람들의 태도에 주목했다. 가믄장아기의 부모는 본래 거지였지만, 세 명의 딸이 태어나면서 천하의 거부가 된다. 가믄장아기라는 타자의 등장은 이런 발복(發福)의 근원을 묻는 부모의 물음에서부터 비롯된다. 가믄장아기는 발복의 근원을 자신의 선금에서 찾음으로써 부모를 중심으로 구성된 가족공동체의 체계를 위협하고, 이방인의 형상을 띤 상태로 쫓겨나게 된다. 타자를 축출한 가족공동체의 폭력은 결국 가족의 와해로 이어진다. 집을 떠난 가믄장아기는 마퉁이 가족이 사는 초막에 도착하고, 셋째 마퉁이는 가믄장아기를 환대한다. 그 환대의 방식은 손님과 주인의 자리바꿈이라는 역동적인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가믄장아기에 대한 셋째 마퉁이의 환대는 잠시 집단의 정체성을 흔들리게 만들지만, 금의 획득을 통한 부의 축적이라는 사건을 통해 가족공동체를 더욱 풍요롭게 만든다. 이런 환대의 서사는 거지잔치로까지 이어지며, 가믄장아기는 자신을 버렸던 부모를 다시 포용하기에 이른다. <삼공본풀이>에 나타난 환대는 절대적 환대에 가까운 모습을 보여주지만, 타자에 모든 우선권을 양보하는 일방향적 모습을 보여주지는 않는다. 환대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상호성을 강조함으로써 환대를 수행하는 인간의 윤리적 태도 또한 중요하다고 말하기 때문이다. <삼공본풀이>는 전상의 신에 대해 다루면서 기본적으로 신과 인간의 관계에 대해 말하지만, 그 과정에서 부모와 자식의 관계, 부부의 관계, 개인과 마을공동체의 관계, 개인과 만인(萬人)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상호 환대의 서사를 강조한다.

목차

[ 국문초록 ]
1. 서론
2. 두 가지 폭력과 타자의 출현
3. 폭력적 타자에 대한 포용과 상호성
4. 환대의 서사학, 그 신화적 가능성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신호림 Shin, Horim. 국립안동대학교 인문예술대학 국어국문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