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시조 <悲歌>의 구성과 시상에 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Yi Jeonghwan’s Sijo Sequence Biga

김승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analyze the development method the sijo sequence Biga written by Yi Jeonghwan, review the contents of each stanza, and discuss the characteristic aspects of this work. In addition, the meaning of unknown poetic words, the usage pattern of historical events, the arrangement of metrical rules, and Chinese translation poetry were also mentioned. The sijo sequence Biga is largely developed in two ways: parallel development from the 1st to 4th stanzas and serial development from the 5th to 9th stanzas. And in the 10th stanza, the work is concluded by overseeing the whole contents. From the 1st to 4th stanzas, which correspond to the first part, not only the parallel method of pairing two stanzas was applied in terms of development method, but also in terms of content, a consistent orderliness is shown in the content related to the imprisoned crown prince Sohyeon(昭顯). In the second part from the 5th to 9th stanza, the development method is changed to reveal a connection with the preceding stanza through a common expression or phrase, and a connection with the following stanza through another common expression or phrase, thereby allowing the sequence to be carried over. Although this part reveals a sense of sadness about the cruel reality after the war, the details are varied. This is a characteristic tha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part, which was consistent with concerns about the crown prince, and it gives the impression that the various thoughts and resentments Yi had after the war as a literary scholar of the nobility were expressed indiscriminately. He expresses his sense of loss and helplessness, makes critical remarks about the humiliating decision to make peace, and suddenly reveals his affection for the king in the palace. If these disorienting contents are not managed in some way, the significance of the poems as a series of sijos will inevitably be halved. It is understood that the method introduced by Yi to control such promiscuity with formal requirements and to compensate for the disturbed consistency is the serial development from the 5th to 9th stanzas. Despite the variety of content covered, the driving force that allowed the flow from the 1st to the 9th stanza to be smoothly connected to the final 10th stanza and the work to be concluded in a cohesive manner can be said to be the result of such formal considerations.

한국어

본고에서는 송암 이정환이 지은 연시조 <비가(悲歌)>의 시상 전개 방식을 분석하고 각 수의 내용을 검토하면서 이 작품이 지닌 특징적 면모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또한 미상(未詳) 시어의 의미와 고사의 활용 양상, 율격의 배치와 한역시에 대해서도 함께 언급하였다. <비가>의 시상은 크게 두 가지 방식에 따라 전개되는데, 제1~4수 사이의 병렬적 전개와 제5~9수 사이의 연쇄적 전개가 그것이다. 그리고 제10수에서 시상을 총괄하며 작품을 종결하는 구도를 보인다. 1단에 해당하는 제1~4수에서는 전개 방식상으로도 두 수씩 짝을 이루는 병렬적 방식이 적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내용상으로도 압송된 세자와 관련된 내용으로 일관되는 정연함이 나타난다. 이어지는 제5~9수의 2단에서는 전개 방식을 바꾸어, 공통된 표현이나 구절로 앞에 나오는 수와 연계를 드러내고, 또 다른 공통된 표현이나 구절로 뒤따르는 수와도 연계를 드러냄으로써 시상이 이월되도록 하는 연쇄적 방식을 취하였다. 이 부분에서는 모두 전란 후의 참혹한 현실에 대한 비애감을 드러내고 있기는 하나, 그 세부적 내용은 다단하게 나타난다. 이는 세자에 대한 걱정으로 일관되었던 1단과는 변별되는 특성으로, 사대부 문인으로서 전란 후에 지니게 된 여러 상념과 울분이 두서없이 표출된 인상을 줄 정도이다. 극단의 상실감과 무력감을 표출하는가 하면, 굴욕적인 화친을 택한 결정에 비판적 언술을 하기도 하고, 돌연 구중의 임금을 상기하며 연군의 정을 드러내기도 하는 것이다. 이렇듯 들쭉날쭉한 시상과 내용을 어떤 식으로든 통어하지 않는다면 연시조로서의 의의가 반감될 수밖에 없으며, 그저 여러 수의 시조들을 ‘비가’라는 단일 제명으로 묶어 놓은 정도에 그치게 될 우려가 있다. 그와 같은 분방함을 형식적인 요건으로 제어하고 흐트러진 일관성을 보상하기 위해 이정환이 도입한 방식이 바로 제5~9수의 연쇄적 전개라 파악된다. 다양한 내용이 다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제9수까지의 흐름이 마지막 제10수로 무난하게 연결되어 작품이 응집력 있게 종결될 수 있었던 추동력도 그러한 형식적 고려에 힘입은 결과라 할 수 있다.

목차

[ 국문초록 ]
1. 들어가며
2. 병렬적 전개
3. 연쇄적 전개
4. 종결 양상
5.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승우 Kim, Seung-u.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