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布衣交集>에 나타난 19세기 한양의 장소성과 그 시대적 의미

원문정보

The Placeness of 19th Century Han-Yang in Poeuikyozip(布衣交集) and Its Historical Meaning

유해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his article analyzes the problems faced by the protagonists of Poeuikyozip (布衣交集), Yi-saeng (李生), a fallen nobleman, and Cho-ok (楚玉), a low-class woman, by focusing on the movement of places within Han-Yang, through which examines the meaning of Han-Yang as a place in the 19th century. Specifically, this study divided Han-Yang into Namchon and Bukchon to explore the realization and frustration of desire that Yi-saeng and Cho-ok experience in it.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Namchon were examined. Namchon was the residence of the nobility, but it was also a space of mixed hierarchy, where the fallen nobility and the wealthy middle-class merchants lived together. This characteristic of Namchon was transferred to Jang Jin-sa's house in Juk-dong in the novel. Jang Jin-sa's house was a place where men and women of the upper and lower classes mixed, making it an ideal place for Yi-saeng and Cho-ok to meet. It was there that Yi-saeng and Cho-ok experienced the solidarity of a relationship that transcended status and circumstance, a relationship called Poeuijikyo (布衣之交). However, their solidarity was destroyed when the scene was moved from Namchon to Bukchon. This was also linked to the characteristics of Bukchon as a space. Bukchon was an area where the status of the residents was fixed as powerful nobility, with a clear hierarchy where the dominant logic of the upper class and the Confucian order governed. This characteristic of Bukchon was transferred to Andong Mingung in the novel. The relationship between Yi-saeng and Cho-ok in Mingung is reorganized into one with clearer class boundaries unlike in Namchon. The solidarity between the poor that Cho-ok had dreamed of and experienced at Jang Jin-sa's house in Namchon is completely lost in Bukchon Mingung. This study examined the 19th century meaning of Han-Yang, a space represented in Poeuikyozip. Yi-saeng, a fallen nobleman, and Cho-ok, a lower-class woman, were the epitome of peripheral figures in conflict with the dominant space of Han-Yang. Their horizontal encounters and solidarity were enough to expect them to make a dent in the discordant space of Han-Yang. However, the experience of solidarity, Poeuijikyo, in their lives did not lead to any change. Both protagonists are characterized by their retro, upper-class oriented personalities, and their encounter between Yi-saeng and Cho-ok is fraught with misunderstandings and misfits, resulting in a relationship that is, under a veneer of solidarity, nothing more than a scandalous adultery. This symbolized the stalemate where Joseon was, unable to make any changes in the new era of westernization. The 19th century, as portrayed by Poeuikyozip, was extremely bleak.

한국어

이 글은 <포의교집>의 주인공 몰락 양반 이생과 하층여성 초옥이 겪는 문제를 한양 내 장소 이동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그것을 통해 한양이란 공간의 19세기적 의미를 고찰한 연구다. 이를 위해 한양을 크게 남촌과 북촌으로 나누어 그 안에서 이생과 초옥이 경험하는 욕망의 실현과 좌절의 양상을 살폈다. 먼저 남촌의 특성을 살폈다. 남촌은 양반의 거주지이긴 하나 실세한 양반들이 모여 살았기에 부를 축적한 중인층 상인들도 함께 살았던 신분적 상하의 질서가 뒤섞였던 공간이었다. 남촌의 이런 특성은 작중 죽동 장진사댁에 그대로 전이됐다. 장진사댁은 상하남녀가 뒤섞여 있는 곳으로, 몰락 양반 이생과 하층여성 초옥이 만남을 펼치기에 매우 적합한 장소였다. 그곳에서 이생과 초옥은 신분과 처지를 초월한 사귐, 즉 포의지교라는 연대를 경험하게 된다. 그러나 이들의 연대는 작중 무대가 남촌에서 북촌으로 이동되면서 완전히 깨어졌다. 이 역시 북촌이란 공간의 특성과 연계됐다. 북촌은 세력 있는 사대부로 주거민의 신분이 고정된 지역으로, 상하의 질서가 명확히 존재하고 상층의 지배 논리 및 유교적 질서가 공고하게 작동하는 공간이었다. 북촌의 이런 특성은 작중 안동 민궁에 그대로 전이됐다. 민궁에서 이생과 초옥의 관계는 남촌에서와 달리 신분적 경계가 명확해진 관계로 재편됐다. 그 결과 초옥은 남촌 장진사댁에서 꿈꾸고 경험했던 빈천한 처지 간의 연대를 북촌 민궁에서 모두 상실해 버리고 만다. 이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포의교집>이 재현한 한양이란 공간의 19세기적 의미를 고찰했다. 몰락 양반 이생과 하층여성 초옥은 한양이라는 당대의 지배적 공간과 불화하는 주변부적 인물의 전형이었다. 한양의 주변인들의 수평적 만남과 그들이 일궈낸 연대는 그들이 불화하는 한양이란 공간에 어떠한 균열을 가할 것임을 기대하기에 충분했다. 그러나 이들의 삶에 포의지교라는 연대의 경험은 아무런 변화를 추동해 내지 못했다. 이생과 초옥 모두 복고적이고 상층지향적 성격에서 벗어나지 못한 인물로, 둘 사이의 만남은 상호 간의 긴밀한 소통이 아닌 착각과 어긋남으로 점철되어 외피만 연대일 뿐 실상은 추잡한 간통에 불과했기 때문이다. 이는 서양풍이 불어오는 새 시대에 아무런 변화를 추동하지 못하는 조선의 답보적 상태를 상징했다. <포의교집>이 진단한 19세기는 이토록 암울했다.

목차

[ 국문초록 ]
1. 들어가며
2. 南村 張進士宅: 布衣之交의 경험적 장소
3. 北村 閔宮: 布衣之交의 불가능을 확인하는 장소
4. 停滯된 장소로서의 한양과 그 시대적 의미
5.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유해인 Yoo, Hae in. 원광대학교 국어교육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