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초등예비교사교육의 표현활동 관련 교육과정 분석 및 발전방향 탐색

원문정보

Analysis of the curriculum related to expression activities for pre-primary teacher education and exploration of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박혜연, 신주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iculum related to the expressive activities of the University of Education and seek development directions in order to provide the foundation for strengthening the expressive activities teaching capabiliti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r this purpose, a literature study was conducted focusing on a total of 11 universities of education across Korea.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categories, subject names, grades, and completion classification were analyzed focusing on the curriculum organization document, and the development direction for each curriculum section was inductively derived. First, the current status of the curriculum related to the expressive activities of the University of Education is as follows. The curriculum structure consisted of liberal arts, teaching, major, and advanced education courses. In addition, education related to the expressive activities is provided in liberal arts, major, and advanced education courses, and each curriculum shows different characteristics. Second, the directions of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related to the expressive activities of the University of Education are as follows. At the level of liberal education, discussion of the identity of the expression area and differentiated content composition as liberal education, at the level of 'major education', expansion of the proportion of education in expressive activities and establishment of convergence subjects, and at the level of 'advanced education', expansion of required courses and development of balanced subjects for teaching capabilities were foun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propose research on domestic and foreign,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 education courses related to the expressive activities, and development of subjects and teaching modules related to the expressive activities in universities of education.

한국어

본 연구는 예비초등교원의 표현활동 교수역량 강화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초등예비교사교육기관의 표현활 동 관련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발전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국의 총 12개의 교육대학을 중심으 로 문헌연구를 실시하였다. 교육과정 편성 문서를 중심으로 범주, 교과목명, 학년, 이수 구분 등의 현황과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교육과정별 발전방향을 귀납적으로 도출하였다. 첫째, 초등예비교사교육의 표현활동 관련 교육과정 현황은 다음과 같다. 교육과정 편성 구조는 교양, 교직, 전공, 심화교육과정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또한 교양, 전공, 심화교육과정에서 표현활동 관련 교육이 시행되고 있으며, 각 교육과정마다 상이한 특성을 보인다. 둘째, 초등예비 교사교육 표현활동 관련 교육과정 발전방향은 다음과 같다. 교양교육의 차원에서는 교양교육으로서 표현활동의 정 체성 논의와 차별화된 내용구성, 전공교육의 차원에서는 표현활동의 교육비중 확대 및 융합적 교과목 개설, 심화교 육의 차원에서는 표현교수역량을 위한 필수이수 확대 및 균형있는 교과목 개발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표현활동 관련 국내·국외, 예비·현직 교사교육과정 연구, 교육대학의 표현활동 관련 교과목 및 수업모듈 개발 연구를 제안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자료수집
2. 자료 분석
3. 자료의 진실성
Ⅲ. 초등예비교사교육의 표현활동 관련 교육과정 현황
1. 교육과정 편성의 구조
2. 교양교육과정
3. 전공교육과정
4. 심화교육과정(체육교육)
Ⅳ. 초등예비교사교육의 표현활동 관련 교육과정 발전방향
1. 교양교육과정의 차원
2. 전공교육과정의 차원
3. 심화교육과정의 차원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S

저자정보

  • 박혜연 Park, Hye-Youn. 서울대학교, 학술연구교수
  • 신주영 Shin, Joo-Young. 서울교육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