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티볼형 게임에서 초등교사의 수업 주목하기

원문정보

Noticing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classes in a T-ball game

정진용, 고문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spects of teaching that elementary teachers noticing in a T-ball game. In May 2022, the researcher's class diary and class plan were used as materials in a 5-session T-ball game clas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ased on inductive category analysis. And the veracity of the data was secured through review among members and triangulation analysis. First, in the understanding stage of the T-ball game class, the following aspects were presented: confirming the contents of the previous learning stage, conveying key learning contents, and presenting class goals. Second, in the ‘Experience’ stage, the aspects that were noticing were presented, such as warming up in connection with learning activities, experiencing various aspects of field-type competition through a T-ball game, and stretching focusing on the body parts used in the game. Third, in the ‘communication’ stage, the content that learners noticing in terms of cognitive, psychomotor, and affective aspects during the process of communicating the contents of their understanding and experience was presented. This study will be able to confirm what instructors noticing in order to improve learners' movements and basic motor skills in the class development structure of understanding, experience, and communication of a T-ball game.

한국어

본 연구는 티볼형 게임에서 초등교사가 주목한 교수 측면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2022년 5월, 5차시로 진 행된 티볼형 게임수업에서 연구자의 수업 일지와 수업 계획서를 자료로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범주분 석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첫째, 티볼형 게임수업의 이해 단계에서는 선행 학습 단계의 내용 확인하기, 핵심적인 학 습 내용을 전달하기, 수업목표 제시하기 측면에서 주목한 내용을 제시하였다. 둘째, ‘체험’ 단계에서는 학습활동과 연계된 준비운동하기, 티볼형 게임을 통해 필드형 경쟁의 다양한 측면 경험하기 그리고 게임에서 활용한 신체 부위 를 중심으로 스트레칭하기에서 주목한 내용을 제시하였다. 셋째, ‘소통’ 단계에서는 학습자들이 경험한 이해, 체험 한 내용의 의사소통 과정에서 주목한 인지적, 심동적 그리고 정의적 측면에서 주목한 내용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는 티볼형 게임의 이해, 체험, 소통의 수업 전개구조에서 학습자의 움직임과 기본 운동기능 향상을 위해 교수자가 주목하는 내용이 무엇인지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 참여자
2. 자료수집
3. 자료 분석 및 진실성
Ⅲ. 연구결과
1. 이해 단계에서 주목한 내용
2. 체험 단계에서 주목한 내용
3. 소통 단계에서 주목한 내용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S

저자정보

  • 정진용 Jeong, Jin-Yong. 인천효성서초등학교, 교사
  • 고문수 Ko, Moon-Soo. 경인교육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