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초등 예비교사의 운동 수준에 따른 공동체 의식 분석

원문정보

An Analysis of Community Awareness according to the Exercise Level of Pre-primary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최흥섭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surveyed and analyzed 172 first graders and 152 second graders of D Education University who participated in practical liberal arts and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2022 to analyze community consciousness according to the level of exercise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research results and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male students were higher in voluntary participation and expression of intention among the sub-factors of community consciousness in gender. Second,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all sub-factors of community consciousness by grade. Third, depending on the level of exercise, the "upper and middle" group was higher than the "lower" group in all sub-factors of community consciousness. In the meantime, we have missed many opportunities to cultivate sports activities that help foster a sense of community due to COVID-19. Therefore, efforts should be made to overcome me(ego) and have a consciousness of us by activating sports activities. Finally, as a follow-up study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and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life, dropout students, physical education, and sports activities, and furthermore, the need for research according to their social relationships.

한국어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들의 운동 수준에 따른 공동체 의식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19학년도 교양 및 전공과정 수업에 참여한 D교육대학교 1학년 172명과 2학년 152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 구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서는 공동체 의식 하위요인 중 자발적 참여 및 의사 표현에서 남학생 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년별에서는 공동체 의식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운동 수준에 따라서는 공동체 의식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상·중’집단이 ‘하’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그동안 코로나19 영향으로 공동체 의식 함양에 도움이 되는 체육 및 스포츠 활동을 거의 할 수 없었다. 이에 이러한 활동을 활성화 하여 우리(we) 의식을 함양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할 필요성이 있다. 아울러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으로 대학교 생 활에서 휴학·자퇴 학생과 체육·스포츠 활동과의 관련성 및 이들의 공동체 의식에 대한 연구와 이들의 사회적 관계 에 따른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교양·체육실기 수업 프로그램 및 운동 수준 평가
3. 측정 도구
4. 자료 처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1. 성별에 따른 차이
2. 학년별에 따른 차이
3. 운동 수준에 따른 차이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S

저자정보

  • 최흥섭 Choe, Heung-Sub. 대구교육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