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flect on the practical experience of a practicing teacher, "me," who guides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in order to derive ideas that can improve the quality of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To achieve this, I conducted a self-study by collecting experiential data from February 2022 to August 2022 and analyzed it using the approach proposed by Connelly and Clandinin (1990). I planned a project-based learning that integrates "theory" to cultivate a vision for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practice" by applying the theory to unit design and teaching. Dur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course that included both theory and practice, I made efforts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experiencing the process of applying theoretical knowledge to real situations and its usefulness. Such practice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my capacity as a teacher educator and provided satisfaction to the majority of pre-service teachers.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the study discussed project-based learning integrated with theory and practice, students' participation experiences in simulated classes, proactive involvement and support from teacher educators, perceived learning satisfaction of pre-service teachers, and the modeling aspect of teacher educator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highlighting the complexity of project-based learning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and providing pedagogical ideas.
한국어
본 연구는 예비초등교사를 지도하는 현직교사 ‘나’의 실천 경험을 성찰함으로써 예비초등교사 교육의 질을 향상시 킬 수 있는 아이디어를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셀프 연구로서 2022년도 2월부터 2022년 8월까지 경 험자료를 수집하여 Connelly와 Clandinin(1990)이 제시한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나’는 이론과 실천이 통합되는 강의를 위해 체육수업에 대한 안목을 기르기 위한 ‘이론’과 이론을 단원 설계와 수업에 적용해보는 ‘실천’을 포함한 프로젝트학습을 계획하였다. 이론과 실천이 포함된 강의를 운영하는 동안 ‘나’는 이론적 지식이 실제 상황에 적용되 는 과정과 그것의 유용함을 체험하게 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러한 실천은 교사교육자로서의 역량을 길러주고 대 다수의 예비교사에게 만족감을 주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이론과 실천이 통합된 프로젝트 학습, 모의 수 업에 대한 학생으로서의 참여 경험, 교사교육자의 능동적인 개입과 지원, 예비교사의 지각된 학습 만족도, 교사교육 자의 모델링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예비교사교육으로서 프로젝트학습이 가진 복잡성을 밝히고 교수적 아 이디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연구 방법
Ⅲ. 현직교사의 예비교사 교수 경험 이야기하기
1. 강의 계획하기
2. 강의 실행하기
3. 강의 성찰하기
Ⅳ. 현직교사의 예비교사 교수 경험 되돌아보기
Ⅴ.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