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보건

중년기성인의 고지혈증관리 요인

원문정보

Factors in Managing Hyperlipidemia in Middle-aged Adults

이정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dentify factors for managing hyperlipidemia in middle-aged adults. The research method is a secondary analysis study analyzing the 2018 data from the Korean Medical Panel Surve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622 adults aged between 40 and 65 who were diagnosed with hyperlipidemia.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education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hyperlipidemia management (𝒳2= 7.285, p = .026), and that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subject's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hyperlipidemia management (𝒳2= 7.295, p = .026). Middle age is a time when the physical aging process begins in earnest, an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developing chronic diseases, and hyperlipidemia is an early disease that causes chronic diseases. Accordingly, active health management is necessary, and in particular, the development of differentiated programs for hyperlipidemia management tailored to the subject's education level and health status is required.

한국어

본 연구는 중년기성인의 고지혈증 관리 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도되었으며, 연구방법은 한국의료패널조사 2018 년도 자료를 분석한 이차분석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40세 이상 65세 미만의 성인 중 고지혈증진단을 받은 622명을 대상으 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육수준과 고지혈증관리 유무가 관련성이 있으며(𝒳2=7.285, p=.026), 대상자가 주관적으로 느끼 는 건강상태와 고지혈증관리 유무가 서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𝒳2=7.295, p=.026). 중년기는 신체적인 노화과 정이 본격적으로 일어나는 시기로 만성질환에 이환될 가능성이 높으며, 고지혈증은 만성질환을 유발하는 초기 질환이다. 이 에 적극적인 건강관리가 필요하며 특히 대상자의 교육수준과 건강상태에 맞는 고지혈증관리를 위한 차별화된 프로그램 개발 이 요구된다.

목차

요약ㅤ
Abstractㅤ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2. 연구방법
2.1 연구설계
2.2 연구대상
2.3 자료분석방법
3. 연구결과
3.1 대상자의 일반적특성
3.2 고지혈증관리 유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 논의
5.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이정인 Jeong In Lee. 대전과학기술대학교 간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