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남정가>의 창작 의도와 작품 세계

원문정보

Creative Intention and Ouevres of <Namjeongga>

김용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s a gasa work that describes the author’s memories of victory in the Battle of Yeongam during the Eulmyowaebyeon(1555). ‘Namjeon’ means to head south to conquer hostile forces, specifically the Japanese invaders who had invaded the southern coast of Jeolla Province. This military event is remarkable for its unprecedented scale and organized nature in terms of swordsmanship and looting. The invaders, leading a large fleet, landed on the shores, committed acts of violence against the local population, and launched a strong attack from the outset, eventually capturing the castle guarded by the Joseon Dynasty. Reorganizing the seriousness of the situation, the Joseon Dynasty organized a subjugation army and successfully suppressed the invaders. The gasa work was composed by Yangsajun(1519~1579), who participated in the subjugation of Japanese pirates during that time. The primary content of the work revolves around the author’s recollection and appreciation of the victory in Yeongam, where the author was actively involved. While som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work have been understood to some extent, there is still a need for precise interpretation and analysis of certain passages. Additionally, it is important to determine the timing of the work’s creation and consider its content in relation to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battle at that time. Clarifying any misrepresentation of the author and understanding the intent behind the work by examining the nature of the document containing it is also crucial. To fully comprehend the nature and form of , it is essential to review the development and character of the Eulmyowaebyeon. is included in ‘Nampanyunyusa,’ where the author is identified as Yangsaeon. The reasons behind the misrepresentation of the author’s name need to be discussed by examining the literature that contains the work. Understanding the nature of this document may shed light on the misrepresentation of the author’s name and provide clues to deduce the work’s intent. The recent discovery of Yangsaeon’s epitaph is expected to greatly assist in enhancing our understanding of the creative intent and theory behind the work. Yangsajun created based on memories of the subjugation of Japanese pirates, and there must have been underlying motivations for its composition. In this article, I analyze the work and explore related records of the author, as well as the document literature, to infer the motives behind the work’s creation. By investigating the nature of the literature containing the work, I aim to understand why was recorded and why the author’s name was inaccurately recorded. Given the importance of the development process of ‘Eulmyowaebyeon’ in interpreting the work, this study seeks to enhance the comprehensiveness of the interpretation by incorporating research findings related to this topic in the analysis of the work. Through this process, I anticipate a thorough examination of the work and the ability to provide a reasoned opinion on Yangsajun’s intent in creating .

한국어

<남정가(南征歌)>는 ‘을묘왜변(1555)’이 발생했을 때, 작자가 영암 전투에서 승전했던 기억을 서술한 가사 작품이다. ‘남정’은 적대 세력을 정벌하기 위해 남쪽으로 떠나는 것을 의미한다. 정벌의 대상은 구체적으로 전라도 남해안에 침략했던 왜구들이었다. 을 묘왜변은 왜구의 규모와 약탈의 양상이 매우 조직적이었다는 점에서 ‘전무후무한 군사적 사건’으로 평가되고 있다. 왜구들은 대규모의 선단을 이끌고 육지로 상륙하여 양민을 살해하고, 조선의 관군이 지키던 성을 빼앗으면서 초기부터 거센 공격을 퍼부었다. 사태 의 심각성을 파악한 조선의 조정에서는 토벌군을 편성하여 이들을 진압하도록 하였다. 당시 왜구 토벌에 참여했던 양사준(1519~1579)에 의해 지어진 가사가 바로 <남정 가>이다. 작품의 주요 내용은 작자가 참전했던 영암에서의 승전에 대한 기억과 감상을 형상화한 것이다. 그동안의 연구를 통해 작품의 내용과 특징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파악 되었지만, 여전히 몇몇 구절들에 대한 정밀한 해독과 해석이 필요한 부분이 남아 있다. 또한 작품의 창작 시기에 대해서도 따져봐야만 하며, 작품의 내용을 당시의 전투 상황과 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분석할 필요성이 있다. 작품이 수록된 문헌의 성격을 파악하여, 작자가 잘못 기재된 상황과 작품의 창작 의도에 대한 해명도 요구된다. <남정가>의 성격과 형상화의 면모를 온전하게 살피기 위해서는 ‘을묘왜변’ 전개 과정 과 성격에 대한 검토가 전제되어야만 한다. <남정가>는 『남판윤유사』에 수록되어 있으 며, 여기에는 작품의 작자를 양사언으로 표기하였다. 작품이 수록된 문헌을 검토함으로 써 작자의 이름이 잘못 기재된 이유에 대해서 논할 필요가 있다. 이 문헌의 성격을 파악 함으로써, 작자의 이름이 잘못 기재된 까닭과 함께 작품의 창작 의도를 추정할 단서를 찾을 수 있으리라고 기대된다. 최근 양사언의 ‘묘지석’이 발굴되었다는 점도 작품의 창작 의도와 작품론을 펼치는데 적지 않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여겨진다. 양사준은 왜구 토벌의 기억을 토대로 가사 <남정가>를 창작했는데, 그 배경에는 분명 어떤 동기가 작용했으리라고 추정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작품을 분석하면서, 작자와 수록 문헌의 관련 기록을 검토하여 작품 창작의 동기에 대해서 추론하고자 한다. 작품이 수록된 문헌의 성격을 탐구함으로써, <남정가>가 수록된 이유와 작자의 이름이 잘못 기 록된 의미를 따져보도록 하겠다. 작품의 해석과 관련해서 ‘을묘왜변’의 전개 과정이 중요 하다고 생각되기에, 이 주제를 다룬 연구 성과를 작품의 분석에 활용함으로써 해석의 완성도를 높이고자 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작품 세계를 면밀하게 따져보고, 양사준이 <남정가>를 창작한 의도에 대해서도 합리적인 의견을 제출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작품 수록 문헌의 성격과 작자 양사준
Ⅲ. <남정가>의 작품 세계와 창작 의도 변증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용찬 Kim, Yongchan. 순천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